기후테크 산업 육성 가속화, 범부처 TF 출범식 개최
녹색전환 촉진 위한 산업 육성 종합대책 수립 추진
첫 출범 회의, 협력쳬계 마련 및 개선·정책과제 논의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대응 기술을 활용하는 수요효율화, 수소, 스마트농업, 자원순환 등 연관산업의 총칭인 기후테크 산업의 육성을 위해 범부처 전담반이 출범한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4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안세창 기후에너지정책실장 주재로 기후부를 포함한 10개 부처가 모인 가운데 기후테크 산업 육성 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범부처 TF가 출범한다고 밝혔다. 

TF에는 기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데이터처, 금융위원회, 기상청, 농림축산식품부, 산업부, 중소벤처기업부,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해양수산부 등이 참여한다.  

   
▲ '온실가스 관측용 초소형 초분광 위성 사업' 운용 개념도./자료사진=한화시스템


기후테크는 기후(Climate)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유엔 기후변화협약에 따르면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하는 혁신 기술을 의미한다.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이를 ‘클린테크’, ‘카본테크’, ‘에코테크’, ‘푸드테크’, ‘지오테크’의 5개 분야로 나눠 개념화한 바 있다.

클린테크는 재생·대체에너지 생산 및 분산화를, 카본테크는 탄소포집·저장 및 탄소감축 기술, 에코테크는 자원순환, 친환경 원료와 제품, 푸드테크는 식품 생산·소비 중 탄소감축, 지오테크는 탄소관측·감시 및 기후적응 등으로 분류된다. 

이번 전담반 출범과 함께 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회의도 진행된다. 
  
회의는 관계부처 부문별 정책 및 기술개발 동향과 기후테크 신생기업(스타트업) 성장 등 대내·외 환경 변화를 고려한 ‘기후테크산업 육성 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사전 준비작업의 일환으로 개최된다. 

회의 참석자들은 각 부처별로 관련 사업 진행 현황, 제도 개선사항 등 그간의 정책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기후테크의 개념과 글로벌 현황, 부진 사항에 대한 개선대책, 향후 정책과제 등을 상호 논의할 계획이다. 

기후부는 앞으로 전문가 논의를 거쳐 기후테크 5대 분야별 핵심 기술을 선정해 각 분야별 이행 로드맵을 마련하고, 관계 부처와 합동으로 탄소중립 가속화, 산업경쟁력 강화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기후테크 산업 육성 종합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안세창 기후부 기후에너지정책실장은 “기후테크 산업은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성과 국제사회의 기후 위상 확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기후테크 기반의 혁신 기업들이 우리나라의 탄소 감축과 경제 성장을 동시에 견인할 수 있도록 전주기 집중투자, 국내외 시장 창출 등을 포함한 효과적인 정책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범부처 역량 결집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