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이슈 발생시 보안주 단기적 수급 쏠림 경향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최근 금융권에서 해킹 사고가 잇따르면서 보안주가 들썩이고 있다. 정부가 금융사들의 정보보호 투자 의무화를 추진하는 점도 투심을 자극하는 모습이다.

   
▲ 지난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산하기관 국정감사에서 김영섭 KT 대표이사가 해킹사태 관련 질의에 답변 후 물을 마시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홍범식 LGU+ 대표이사,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 김광일 MBK 대표이사, 유영상 SKT 대표이사, 김영섭 KT 대표이사. /사진=연합뉴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30분 기준 사이버 보안 전문기업 모니터랩의 주가는 전장 대비 12.56% 오른 5020원을 나타내고 있다.

정보기술(IT) 보안 전문기업 한싹도 같은 시간 0.81% 오른 6250원을, 사물인터넷(IoT) 보안 전문 토털 솔루션 기업 아이씨티케이 역시 6.93% 뛴 1만6350원을 기록 중이다. 

이들 보안 관련주는 전날에 이어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전날인 지난 22일에는 정보보안 전문기업 싸이버원이 전장 대비 23.98% 오른 5170원에 거래를 끝마친 바 있다. 

요 며칠 보안 관련주가 들썩이는 이유로는 지난달 외부 전산 관리 업체 해킹으로 사모 운용사 36곳의 서버가 랜섬웨어에 감염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보안 강화 필요성이 재차 부각된 점을 들 수 있다. 

통상 해킹 이슈가 발생할 경우 보안주에 단기적으로 수급이 쏠리는 경향이 있다. 실제 트라움·트러스타·포어모스트·포도자산운용 등 4곳은 고객 금융거래내역 등 민감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을 금융당국에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정부의 정책 기대감도 투심을 자극하는 모습이다. 

지난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국가안보실·금융위원회·개인정보보호위원회·국가정보원·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범부처 정보보호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최근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을 잇따라 겨냥한 해킹 공격이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자, 정부 차원에서 유기적인 대응 체계를 마련하기로 한 것이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공공·금융·통신 등 국민이 주로 이용하는 1600여 개 핵심 IT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전면 점검하는 한편, 기업의 해킹 지연 신고나 재발 방지 미이행 등에 대해서는 과징금·징벌적 제재를 강화하기로 했다. 또 해킹 정황이 확보되면 기업의 신고 여부와 관계없이 정부가 직접 현장을 조사할 수 있도록 권한을 확대한다.

업계에서는 정부의 이 같은 조치가 향후 보안 산업의 전반적 성장세를 이끌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해킹 이슈가 발생하면 자연스레 보안주에 대한 투심이 되살아 나곤 했다”면서 “이번에는 정책적 모멘텀까지 더해져 단기적으로는 보안주에 수급 쏠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가 정보보호 투자를 의무화하겠다고 밝힌 만큼 실질적 보안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보안 산업의 성장까지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