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재훈 기자]종근당이 최근 노보노디스크의 비만치료제 ‘위고비’와 바이엘코리아의 만성 심부전 치료제 ‘베르쿠보’까지 확보하며 블록버스터 케이캡 공백을 메우는 동시에 성장동력 다변화에 나서고 있다. 업계는 종근당이 단기적으로 수익성 방어에 집중하면서도 장기적으로 신약개발을 통한 체질 개선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 |
 |
|
| ▲ 종근당 본사 전경./사진=종근당 |
24일 업계에 따르면 종근당은 최근 노보노디스크제약과 비만치료제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의 국내 공동판매 계약을 체결하고 국내 병·의원 영업에 돌입했다. 위고비는 단일 GLP-1 수용체 작용제로 올해 2분기 국내 전문의약품(ETC) 매출 1위를 기록하며 비만치료제 시장 점유율 73%를 차지한 제품이다.
글로벌 임상(STEP 1·5)에서 평균 17%의 체중감소 효과를 입증했고 국내 포함 아시아인 대상 시험에서도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최근 ‘마운자로(일라이릴리)’ 등 경쟁 약물의 등장으로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위고비의 높은 신뢰도와 처방 선호도를 종근당이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이달에는 바이엘코리아와 만성 심부전 치료제 ‘베르쿠보(성분명 베리시구앗)’의 국내 독점판매 계약을 체결했다. 베르쿠보는 좌심실 박출률이 45% 미만으로 저하된 증상성 만성 심부전 환자에게 처방되며, sGC(수용성 구아닐산 고리화효소) 자극제 계열 최초로 허가된 치료제다.
임상에서 심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과 재입원 위험을 줄이는 것으로 입증된 약물로 기존 ‘엔트레스토’ 중심 시장에 새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종근당은 베르쿠보 단독판매를 통해 심혈관계 질환 치료제 포트폴리오를 한층 강화하고 케렌디아·넥사바·스티바가 등 기존 품목과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업계에선 종근당이 위고비와 베르쿠보를 통해 ‘외형 성장+수익성 복원’의 두 마리 토끼를 노리고 있다고 본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종근당의 매출 상당 부분을 차지하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은 2024년 보령으로 파트너사가 바뀌며 공백이 생겼다.
이로 인해 종근당의 2024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9% 감소한 995억 원으로 급락했다. 그러나 종근당은 케이캡 이탈 직후 펙수클루 등 10건이 넘는 신규 공동판매 계약을 확보하며 빠르게 구조를 전환했고, 올해는 위고비·베르쿠보 효과로 매출 1조7018억 원을 기록하며 9.1% 증가가 전망된다.
다만 낮은 마진 구조로 인해 2025년 영업이익은 715억 원으로 18%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프로모션 기반 수익은 매출 방어엔 유리하지만 판매수수료 비중이 높아 수익성이 떨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특히 연구개발(R&D) 강화로 인한 판관비 확대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종근당은 올해 상반기에만 R&D에 1595억 원을 투입했으며 이는 매출 대비 9.5%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 |
 |
|
| ▲ 20일 충정로 종근당 본사에서 열린 아첼라 창립식에서 이주희 대표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종근당 |
다만 이는 장기적인 성장 비전 아래 진행되는 투자로 단순히 부정적인 영향으로만 해석하기 어렵다. 수익성 측면에서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은 노바티스에 기술이전된 HDAC6 저해제 ‘CKD-510’과 미국 임상을 진행 중인 항체-약물 접합체 신약 ‘CKD-703’이 향후 가시화될 경우다. 신약 가치가 곧 기업가치 재평가의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종근당은 단기적 매출 성장뿐 아니라 장기적 연구개발 체계 강화에도 나서고 있다. 최근 신약개발 전문 자회사 ‘아첼라’를 설립, NRDO(연구개발 전담) 구조로 전환해 △CETP 저해제 CKD-508 △GLP-1 작용제 CKD-514 △HDAC6 저해제 CKD-513 등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경기 시흥에 2조2000억 원을 투입해 첨단 복합 R&D 단지를 조성 중이며, 미국 보스턴에 설립된 법인 ‘CKD USA’ 등을 통해 글로벌 임상 역량을 확장하고 있다. 업계는 현재 종근당의 R&D 지출은 미래 성장성을 위한 포석이며 단기 비용 증가가 중장기적으로는 경쟁우위를 가져올 것으로 보고 있다.
종근당 관계자는 “상품 전략 외에도 장기적으로 R&D에 집중하고 있다”며 “실적 같은 경우에도 R&D 비용 집행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에 영향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박재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