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최근 코스피가 연일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며 '사천피'(4000포인트) 기대가 커진 가운데 이달 하루 평균 거래대금이 4년여 만에 최대 수준으로 불어났다.
| |
 |
|
| ▲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24일까지 코스피 일평균 거래대금은 16조653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월별 기준 2021년 6월 일평균 거래대금(16조9480억 원) 이후 4년 4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지난달(11조5540억 원) 대비로는 5조990억 원(44%) 급증했다.
이달 코스닥 일평균 거래대금이 전달보다 13.9%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코스피 거래대금의 증가세가 특히 두드러진다.
앞서 지난 1월 9조6180억 원 수준이던 코스피 일평균 거래대금은 2월 12조2190억 원까지 늘었으나 4월 들어 7조9110억 원까지 쪼그라들었다. 이후 점차 증가해 6월 15조2000억 원까지 급증한 거래대금은 다시 감소, 지난달 11조5000억 원대로 내려섰으나 이달 들어 16조 원대로 대폭 불어났다.
코스피가 미국 기술주 훈풍과 한미 무역 협상 기대 등에 이달 들어 15% 급등하며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자 투자심리가 개선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달 코스피 거래대금은 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대형 반도체로 쏠리는 모습을 보였다. 인공지능(AI) 수요 증가 및 메모리 업황 회복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에 매수세가 몰린 영향이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삼성전자 우선주의 이달 일평균 거래대금은 4조5990억 원으로 같은 기간 전체 코스피 거래대금의 28%를 차지했다.
지난 24일엔 이들 세 종목의 시가총액 총합이 사상 처음으로 1000조 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