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캄보디아대사관에 취재진·여행사 신고 및 문의 폭주로 업무마비 상태” 호소
불분명한 동영상 보내거나 첩보 입수했다며 검거작전 요청…“녹취했다” 협박도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과 남쪽의 해양도시 시아누크빌엔 마치 교도소 같은 거대한 온라인 스캠 범죄단지가 무려 50여 곳이 있고, 범죄 종사자는 20만여 명으로 추산되며, 이 가운데 한국인 범죄 가담자도 1000~2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국가정보원은 추산하고 있다. 

중국계가 운영하거나 총책을 맡고 있는 범죄조직들은 현지 권력 및 경찰과 유착해 재벌형으로까지 진화된 상태라고 한다. 범죄에 연루된 한국인들도 스캠 범죄라는 사실을 알고 가담한 사람과 잘 모르고 유인된 사람이 섞여 복잡한 양상이다. 

이런 가운데 캄보디아 차이나타운의 범죄단지를 취재하는 일부 한국 취재진과 일부 한국 여행사 측에서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에 지속적으로 연락하며 검거작전을 요구하고 있어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27일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현지에 출장을 온 일부 매체와 여행사 등이 단편적인 정보를 주면서 대사관이 검거에 나서라고 요구하거나 심지어 협박도 하고 있다.

이 소식통은 “날짜와 위치도 없는, 불분명한 동영상을 보내면서 검거해달라고 요청하거나, 인터폴 적색수배자가 모 호텔에 숙박 중이라는 첩보를 입수했다며 경찰과 취재진이 함께 검거작전을 할 수 있는지를 묻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한국인이 캄보디아 보이스피싱 조직 내에서 중국인에게 폭행을 당하다가 단속이 심해지자 3개 지역으로 나눠서 숨어 있다”며 “인적사항도 없고 무슨 일을 했는지는 모르지만 한국인이니 구조해내야 하지 않냐며 막무가내 요청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했다.

   
▲ 23일(현지시간) 캄보디아 범죄단지인 '태자단지'가 철조망과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2025.10.23./사진=연합뉴스

심지어 “전화통화를 하면서 ‘지금 대사관에 전달한 내용을 모두 녹취했다. 구해주지 않으면 현지 군인을 매수해서 작전을 벌이면서 취재하겠다’고 협박하기도 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그러면서 이 소식통은 “이러한 일부 취재진의 행동은 그럴 듯한 보도 내용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 현실적으로 효과 있는 검거 작전도 안될 뿐더러 공관 업무에 큰 혼선과 부담만 가중하게 된다”며 자제를 호소했다.

26일 연합뉴스가 시아누크빌 범죄단지에서 일하는 A씨를 인용해 보도한 것에 따르면, 경찰당국의 단속과 언론 취재에 그곳 범죄단지의 50% 이상이 비어있는 상태라고 한다. 그런데도 한국인들로 구성된 일명 ‘한국팀’ 여러 곳이 일을 하는 상태라고 한다.

A씨는 단속에 대해 “보여주기 식”이라고 말하기도 했고, 캄보디아를 떠나지 않는 이유에 대해 “한국인 대상 범죄가 수익이 잘 나오는데다 경찰 등 기관을 매수하는 일이 쉽다”고 말했다.   

정부는 캄보디아와 합동으로 대응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한국인 범죄 연루자를 검거해 송환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한국경찰이 파견되는 ‘코리아 전담반’이 곧 발족할 예정이어서 성과가 주목된다.

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프르를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와 양자회담을 갖고 한국경찰이 파견되는 ‘코리아 전담반’을 11월부터 가동하기로 합의했다.

앞서 한-캄보디아 경찰청도 양자회담을 갖고 ‘24시간 핫라인’ 구축 등을 합의했으며, 앞으로 양측의 경찰력이 동원돼 스캠 범죄를 적극 단속하고, 공동조사 등을 이어갈 전망이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