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태민 기자]건설업계에서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이 대기업을 중심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중소건설사들의 시름이 깊다. 상대적으로 환경 신기술 개발 등이 뒤쳐지고 있어서다. 정부가 '2050 탄소중립'을 외치는 만큼 중소건설사에 대한 그린리모델링 민간이자지원사업 연장 등 다양한 지원책을 추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 |
 |
|
| ▲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 발맞춰 중소 건설사에 대한 세제혜택 등 실질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28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최근 기후에너지환경부로부터 '탄소저감 조강형 콘크리트'에 대해 환경성적표지(EPD) 인증을 받았다. EPD 인증은 제품의 원료 채취, 생산, 시공, 사용, 폐기 등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해 투명하게 공개하는 제도를 말한다.
DL건설도 헬릭스(Helix) 구조의 PET 섬유복합체와 진동 분산시스템을 활용한 터널용 숏크리트에 대한 신기술을 개발했다. 해당 기술은 CO₂ 배출량 감소로 탄소중립 정책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다른 대형·중견 건설사들 역시 탄탄한 자금력을 기반으로 매년 ESG경영 활동을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내는 등 정부 정책에 적극 대응 중이다.
하지만 중소건설사들은 여전히 ESG 실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소 건설사들이 ESG 경영에 뒤쳐지는 가장 큰 이유는 경기 위축 때문이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이달 중소기업 경기전망조사에서 건설업은 전월(70.6) 대비 4.1p 하락한 66.5를 기록했다. 이 수치가 떨어질수록 전망이 악화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 중소기업중앙회가 실시한 ‘탄소중립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대상 기업 중 대응계획이 있는 기업은 13.9%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업계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시장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친환경 전환에 뒤쳐지는 중소 건설사들은 시간이 갈수록 설 자리가 더욱 좁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에 따르면 올해 제로에너지건축물 시장은 약 15조~20조 원 규모로 추정된다.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가 100% 이행될 경우 오는 2030년에는 최대 107조 원, 2050년에는 180조40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통해 동반성장위원회와 함께 ESG 경영에 익숙지 않은 중소기업도 체계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지만 여전히 지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건산연 역시 이자 지원사업 등 제로에너지건축물, 그린리모델링에 대한 인센티브를 현 수준으로 유지할 경우 정부의 탄소중립 시나리오 목표 달성은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지난 2023년을 끝으로 중지된 그린리모델링 민간이자 지원사업을 되살리고 추가적인 세제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세제적, 정책적 지원이 병행돼야 중소기업도 정부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가까워질 수 있다는 제언이다.
지난 2023년을 끝으로 중지된 그린리모델링 민간이자 지원사업을 되살리고 추가적으로 세제 지원 등 다양한 개선책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다.
민간 건축물 에너지 성능 개선은 건물 부문 온실가스 감축의 핵심 수단으로 꼽힌다. 이자 지원 중단 시 관련 실적 저조와 감축 목표 달성에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대규모 민간 건물 개선은 국가 전체의 에너지 소비 절감에 기여하며, 장기적으로 에너지 자립과 친환경 도시 조성에 필수적”이라며 “다만 정부의 탄소중립 사업은 단지 국토부만 책임질 부분이 아니라 산업통상부 등 정부 부처가 함께 머리를 맞대 함께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밝혔다.
[미디어펜=조태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