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동하 기자] 정부가 다음달 9일까지 전국 단위 소비진작 행사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시작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추진하는 이번 행사는 유통·외식·관광·문화 전반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대규모 캠페인이다. 프랜차이즈 업계는 이번 축제를 통해 '매장 방문 소비 회복'의 전환점으로 삼겠다는 기대를 내비치고 있다.
| |
 |
|
| ▲ 정부가 다음달 9일까지 전국 단위 소비진작 행사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29일 시작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
29일 정부에 따르면 이번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축제 기간 동안 지역사랑상품권과 온누리상품권의 할인율을 최대 20%까지 확대하고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에는 추가 환급 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
대표적으로 부산시는 지역 화폐인 '동백전' 캐시백 요율을 최대 18%로 높이고 별도 한도 50만 원을 추가로 설정했다. 전라북도 역시 지역사랑상품원 요율을 기존보다 5~10%p(포인트) 상향해 최대 20% 할인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같은 현금성 인센티브는 외식업계에도 직접적인 수요를 만들어낼 전망이다.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는 "지자체 캐시백이 10%만 돼도 소비자 입장에서는 '오늘은 밖에서 먹자'는 선택으로 이어진다"며 "매장 방문 유도 효과는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프랜차이즈 업계의 가장 큰 고민은 배달앱 수수료와 광고비 부담이다. 플랫폼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다수 브랜드가 매장 가격보다 배달 가격을 높이는 구조를 도입했지만 '이중가격제' 논란이 불거지며 소비자 반감이 커졌다.
이번 축제는 이런 흐름 속에서 '배달보다 매장이 이득'이라는 매시지를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지자체가 오프라인 소비를 장려하고 소비자에게는 캐시백을 제공하면서 매장 중심의 소비가 다시 활성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지자체들도 이번 축제를 자치 단위의 '내수 살리기 캠페인'으로 적극 활용 중이다. 부산은 해운대·전포공구길 등 주요 상권과 연계한 이벤트를 마련했고 전라북도는 전통시장·소상공인 가맹점에서 상품권 결제 시 즉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대전·광주는 지역 관광과 연계한 음식·문화 체험 행사를 추진 중이다.
정부는 축제 참여 기업과 지자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공식 홈페이지와 카카오톡 채널을 열어 소비자들이 참여 매장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했다.
한 외식 컨설턴트는 "수도권보다는 지방 중소도시에서 할인 폭이 크기 때문에, 브랜드 입장에서는 특정 지역 한정 마케팅이나 팝업 전략이 유효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번 행사가 단기 매출 상승에는 분명 효과가 있겠지만 지속성 확보가 관건이라고 말한다. 소비 진작 효과가 정책성 예산에 기반한 만큼 행사 종료 후 매출이 다시 빠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프랜차이즈 본사와 가맹점 간 이해관계도 변수다. 가맹점주 입장에서는 정부 캐시백으로 매출이 오른 것 뿐인데 본사가 이를 근거로 로열티 인상이나 물류단가 조정을 시도할 경우 갈등이 불가피해질 수 있다.
또한 정부가 내수 진작 파트너로 프랜차이즈 업계를 호출한 만큼 향후 가격 정책·배달 수수료·가맹점 상생 구조 등에 대한 규제 및 감동 강화 가능성도 제기된다.
외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축제는 외식 프랜차이즈가 정부 정책과 손잡고 내수 진작의 주체로 부상하는 첫 신호탄"이라며 "단기 매출 효과에 그치지 않고 매장 중심의 새로운 소비 경험을 정착시킬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김동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