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로 구성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이 지난 28일 NH투자증권 고위 임원 등이 연루된 공개매수 관련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와 관련해 NH투자증권 본사를 압수수색한 것으로 알려지며 업계 파장이 일고 있다. 소위 '주가조작 패가망신' 1호 사례에 이어 2호 사례 역시 금융사 직원이 연루됨에 따라 이번 수사 방향이 금융사 임직원 전반에 대한 단속의 의미를 강화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 |
 |
|
| ▲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로 구성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이 지난 28일 NH투자증권 고위 임원 등이 연루된 공개매수 관련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와 관련해 NH투자증권 본사를 압수수색한 것으로 알려지며 업계 파장이 일고 있다./사진=김상문 기자 |
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합동대응단이 지난 28일 NH투자증권 고위 임원 등이 연루된 공개매수 관련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와 관련해 NH투자증권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해 업계 파장이 번지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강력하게 경고했던 이른바 '주가조작 패가망신'의 새로운 사례가 추가된 것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이번에 문제가 된 해당 임원은 최근 2년여에 걸쳐 NH투자증권이 공개매수를 주관했던 11개 종목의 공개매수 관련 중요정보를 직장 동료와 지인 등에게 지속적으로 전달했던 것으로 보인다. 정보가 공표되기 전 해당 주식을 매수한 뒤, 공표 후 주가가 급등하면 전량 매도하는 방식으로 약 20억원 상당의 부당이익을 편취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상호간 부당이득을 공유한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도 나왔다.
해당 주식 매매에 가담한 일련의 혐의자들은 친인척 등 명의의 차명 증권계좌를 다수 사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사용 차명 계좌도 수시로 바꿔가며 매매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대해 합동대응단 측은 "혐의자들이 증권사 내부 또는 금융당국의 감시망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번 사건은 지난 7월 출범한 합동대응단의 2호 사건으로, 대응단은 지난 9월 1호 사건으로 재력가와 금융전문가들이 연루된 1000억원 규모의 주가조작을 적발해 재산동결 조치를 취했다. 이들은 종합병원·한의원·대형 학원 등을 운영하는 소위 '슈퍼리치'들과 금융 전문가들이 협력해 1000억원대 주가조작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이후 얼마가 지나지 않아 또 다시 추가된 2호 사례에 대한 처벌이 어느 정도 수위로 내려질지 업계도 자못 긴장하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나 NH투자증권은 공개매수 관련 신뢰도가 높은 회사이기 때문에 더욱 파장이 우려되는 부분이 있다. 합동대응단 측은 "이번 조사를 통해 해당 증권사가 내부통제 체계를 스스로 재점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국내 증시 코스피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거래대금이 급증하며 증권사들의 호실적이 예상되는 상황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이렇게 당국의 윤리 기준이 강화되는 흐름이 병행되고 있어 증권업계의 내부 단속은 점차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증권사를 비롯해 금융사들에 대한 여론 인식이 악화될 것이 불가피해 걱정되는 부분이 있다"면서도 "장기적으로는 업계 신뢰를 제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