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자연적으로 잘 분해되지 않아 ‘죽지 않은 좀비 화학물질’로 불리는 과불화화합물에 대한 수질기준 마련을 위한 실행계획 논의 등이 본격화된다.
| |
 |
|
| ▲ 과불화화합물에는 과불화술폰산류와 과불화지방산류 및 그 염류 등 여러 가지 화합물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PFOA와 PFOS가 있다./자료=기후부 |
| |
 |
|
| ▲ 과불화화합물에는 과불화술폰산류와 과불화지방산류 및 그 염류 등 여러 가지 화합물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PFOA와 PFOS가 있다./자료=기후부 |
과불화화합물은 탄소(C)와 불소(F)의 강한 결합으로 이뤄진 인공합성 유기화학물질로 물과 기름을 잘 튕겨내고 열과 화학물질에 강하고 자연적으로 잘 분해되지 않으며, 인체에 축적되면 건강상 문제가 야기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반도체, LCD 제조, 의류, 가구, 페인트, 왁스, 세척제, 마루광택제, 복사기, 컬러프린터기 등 일상 속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8년 낙동강 정수장에서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된 바 있다.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은 과불화화합물 3종에 대해 먹는물 수질감시기준(PFOA 70ng/L 등)을 설정해 모니터링하고, 정보를 공개해오고 있으며, 지금까지 현행 수질감시기준을 초과한 사례는 없다.
하지만 최근 미국, 일본, 유럽 등 주요 선진국에서 과불화화합물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각 국가들은 수돗물 수질기준을 강화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런 추세를 고려해 국회, 언론, 학계 등에서 정수장 과불화화합물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상황이다.
29일 열린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이 문제가 거론됐다. 이학영 의원은 “과불화화합물이라는 물질이 있는데 열에 버티고 물에도 쉽게 분해되지 않는데도 1950년대부터 국내 각종 업종에서 사용하고 있어 몸속에 잔류 돼 있을 것으로 꺼림직한 상황”이라면서 “국제적으로는 사용이 금지된 것으로 아는데 우리나라는 (사용이)30년 연기된 상황이다. 이를 줄이는 역할을 해달라”고 요구했다.
정부는 2028년까지 과불화화합물에 대한 수돗물 수질기준을 마련할 것을 새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30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대한상하수도학회와 공동으로 ‘수돗물 과불화화합물 대응 전략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에는 서울, 부산 등 관련 지자체, 학계와 업계 전문가, 국립환경과학원, 한국수자원공사 등을 포함해 100여 명이 참석하고, 대한상하수도학회 공로이사인 단국대학교 독고석 교수가 토론 좌장을 맡을 예정이다.
특히 포럼에서 과불화화합물로부터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한 수질기준 강화 계획을 밝히고, 세부 이행과정을 구체화하기 위해 전문가 등과 심도 있는 토론을 진행할 계획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과불화화합물의 분석법을 현재 5ng/L에서 1ng/L까지 분석할 수 있도록 고도화하고, 수돗물 모니터링 대상을 대규모 정수장 101곳에서 427곳 전국 모든 정수장으로 확대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 독성 참고값 등을 고려해 과불화화합물 인체 위해성 평가도 추진할 계획이다.
전문가 발표에서는 광주과학기술원(GIST) 이윤호 교수가 정수장 과불화화합물 대응을 위한 활성탄, 이온교환수지 및 막여과 수처리 기술의 해외 적용 사례와 국내 적용 가능성을 소개한다.
한국수자원공사는 광역정수장에서의 과불화화합물 대응 현황을 소개하며, 일선 정수장에서의 과불화화합물 처리 방법과 요구되는 기술 등 현장 의견을 전할 예정이다.
또한 한국환경산업기술원(KEITI) 문상기 박사는 수돗물 수질기준 강화에 대응해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멤브레인 기술, 고효율 흡착소재 개발, 활성탄 처리기술 고도화, 전기화학, 플라즈마 등 과불화화합물 제거를 위한 실효적인 기술개발이 시급함을 강조한다.
기후부는 ‘상수도 과불화화합물 대응 기술개발’ R&D 사업을 내년 예산안에 신규로 37억 원을 편성해 2030년까지 384억 원의 국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권지향 대한상하수도학회장은 “과불화화합물 수질기준 강화 계획은 먹는 물에 대한 국민의 안전을 목표로 추진하는 것이며, 선진 정수처리기술이 수반돼야 하는 동시에, 현장의 여건도 고려해야하는 매우 중요한 과제”라며, 환영 의사를 표명했다.
김효정 기후부 물이용정책관은 “과불화화합물 관리와 같이 사전 예방에 초점을 둔 정책은 정부, 지자체, 학계, 산업계 등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정책 거버넌스를 통해 실효성 있는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부는 이를 위해 지속적인 협의의 장을 마련하고, 관련 정보 및 기술개발 성과를 공유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