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주혜 기자] 3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최민희 위원장의 '유튜브 비판 보도 차단 문의' 의혹이 도마 위에 올랐다. 
국민의힘은 최 위원장이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고 있다"며 전날(29일) 국정감사 보이콧 이유가 최 위원장의 사적 의혹 때문임을 강조했다.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과방위 국감에서 최광호 방송미디어통신심의위원회 사무총장 직무대행에게 "최 위원장실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최 위원장을 비판하는 내용을 삭제할 수 있는지 문의했다는 기사가 있다"며 사실 관계를 물었다. 이어 "정식 민원 절차가 있는데 국민도 홍보팀장에게 전화해 물어볼 수 있느냐"며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최 대행은 "(그 내용은) 별도로 보고받지 않았다"며 "보통 민원 심의 절차나 실무자에게 전화로 문의하는 경우가 있다"고 답했다.
                    
                        
                            |  |  |  | 
                            | ▲ 3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종합감사에서 최민희 위원장이 국민의힘 박정훈 의원의 사퇴 요구 발언을 듣고 있다. 2025.10.30./사진=연합뉴스 | 
                
앞서 한겨레는 최 위원장실 관계자가 지난 7월 방심위에 고발뉴스TV의 '이재명 대통령의 의견을 무시했다, 최민희 의원의 방송3법 강행 도대체 왜'라는 영상 기사 처분을 문의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최 위원장실 선임비서관은 이날 오전 페이스북을 통해 "논란이 된 방심위 문의는 단순히 절차를 확인하려는 목적이었다"며 "최 위원장의 지시나 보고는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당시 이상호 기자가 사실과 다른 주장을 해 대응 방법을 찾던 중 국회 직원에게 '방심위에 신고하면 어떻게 되느냐'고 문의한 것이 전부"라고 했다.
또 "당시 방심위 직원은 '현재 위원이 2명뿐이라 심의가 진행되지 않는다'며 '민원이 정식 접수되지 않으면 조치할 수 없다'고 답해 문의가 종료됐다"고 덧붙였다.
국민의힘은 최 위원장의 상임위 운영 방식도 비판했다. 이상휘 국민의힘 의원은 "2025년 국정감사는 위원장의 사적 의혹으로 위상이 흔들렸다"고 주장했다. 그는 "피감기관이 자의든 타의든 축의금을 줬다는 정황이 드러나 객관성 확보가 어렵다"며 보이콧 이유를 설명했다.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도 "최 위원장은 무소불위 권력을 휘두른다"며 "인터넷 뉴스가 마음에 들지 않아 권한 없는 방심위에 비공식적으로 차단 조치를 문의하고 해당 기자에게 압박해 기사를 내리게 했다"고 말했다.
한편 국민의힘은 이날 오후 언론 공지를 통해 "최 위원장이 자녀 혼사를 명목으로 성명불상의 대기업 관계자 4인, 지상파 방송사 관계자 3인, 기업 대표 1인 등 총 8명에게 각 100만 원씩 800만 원 뇌물을 받은 혐의로 서울경찰청 민원실에 고발했다"고 밝혔다.
[미디어펜=김주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