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애 "사측, 과로사 부인하며 자료 제공 거부...법적·도덕적 책임 회피"
런베뮤, 2022년~2025년 9월까지 산재 승인 건수 총 63건으로 확인
김영훈 장관 "이런 운영이 기업 혁신처럼 회자되는 문화 발본색원"
[미디어펜=김주혜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최근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런베뮤)에서 발생한 청년 노동자 사망 의혹 사건과 관련해 청년 노동자들의 현실에 깊은 유감을 표명했다.

31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이번 사태를 연일 언급하며 확실한 책임 규명과 재발 방지에 무게를 싣는 입장이다. 김병주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 사건을 '열정페이'를 넘어선 '생명페이' 문제로 규정하고 노동의 존엄성을 강조하며 제도 개선을 약속했다.

앞서 런베뮤 인천점에서 근무하던 20대 직원 A씨는 지난 7월 회사 숙소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유족 측은 A씨가 신규 지점 개업 준비와 운영 업무를 병행하며 주 최대 80시간에 달하는 극심한 업무 부담을 겪은 것으로 전했다. 

이에 유족들이 "사망 전 주당 80시간 근무했다"며 과로사 가능성을 제기했다. 런베뮤 측은 "입사 후 평균 주당 근로시간은 44시간"이라면서도 구체적 근로시간 자료는 내놓지 않았다. 산업재해로 인한 과로사 판단은 통상 사망 전 4주 또는 12주간의 노동 시간을 근거로 한다.

   
▲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정책위의장이 23일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 대책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0.23./사진=연합뉴스


김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를 통해 "한 청년의 피어나지 못한 꿈이 으스러졌다"며 "지금도 수많은 청년들이 열정페이라는 미명하에 생명페이로 청춘을 소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청년 고용률이라는 숫자 뒤에 소모품처럼 갈려나가는 청춘의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며 "민주당은 버티는 일자리가 아닌 내일이 있는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정애 민주당 정책위의장도 전날 국정감사대책회의에서 "SPC 삼립 산재 사고가 발생한 시기와 비슷한 지난 7월 또 다른 제빵사업장인 런베뮤에서 청년 노동자가 숨진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며 안타까워했다.

한 정책위의장은 "해당 직원은 주 58시간에서 80시간 일하는 등 과로에 시달린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며 "사측은 과로사를 부인하면서도 근무시간 확인 자료 제공 요구를 거부하는 등 법적·도덕적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고용노동부가 본사와 해당 지점을 대상으로 전면 근로감독에 착수했다"며 정부 당국에 철저한 진상 규명과 엄정 대응을 주문했다.

이뿐 아니라 전날 환노위 고용노동부 종합감사에서는 여야를 막론하고 런베뮤의 노동 환경 문제를 집중 질타했다.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사망 직원이 생전에 가족과 여자친구에게 보낸 문자 메시지를 제시하며 "고인은 하루 24시간 중 최대 21시간을 일했고 밥도 제대로 먹지 못했다고 알려져 많은 국민이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또한 정 의원실은 같은 날 보도자료를 통해 "런베뮤 전 계열사에 대한 전면 근로감독을 실시해야 한다"며 런베뮤와 계열사에서 한 달 또는 석 달마다 계약을 갱신하는 '쪼개기 계약', 과도한 시말서 작성 등으로 노동자를 옥죄는 구조를 문제 삼았다.

한편 이학영 민주당 의원실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런베뮤 사업장에서 발생한 산재 승인 건수는 2022년 1건, 2023년 12건, 2024년 29건, 2025년 9월 기준 21건으로 총 63건에 달하며 신청된 모든 건이 승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PC 삼립의 2024년 산재 승인 건수 11건과 비교해 높은 수치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난 29일부터 인천점과 본사에 대한 기획감독을 실시했고 위반 사항이 확인되면 전국 지점으로 확대해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히 대응하겠다"며 "이런 운영 방식이 기업 혁신이나 성공 사례처럼 회자되는 문화를 이번에 반드시 발본색원하겠다"고 밝혔다.
[미디어펜=김주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