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이재명 대통령은 31일 한국 정부와 삼성전자·SK그룹·현대차그룹·네이버클라우드 4개 기업에 총 26만장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공급하기로 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한국이 AI 글로벌 강국이 될 수 있도록 엔비디아가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경주 화백컨벤션센터 접견실에서 젠슨 황 CEO를 만나 모두발언에서 “대한민국의 목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인공지능(AI) 수도’로 거듭나는 것”이라며 “최근 한국을 아시아·태평양 지역 AI 허브로 발전시키는 프로젝트에 블랙록, 오픈AI와 같은 글로벌 기업이 함께 하기로 했다”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엔비디아도 동참해 인프라·기술·투자가 선순환하는 AI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 가기를 기대한다”라고 했다.
젠슨 황도 "AI의 미래를 한국과 함께 만들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화답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접견 이후 브리핑을 통해 이 대통령과 젠슨 황이 만나 이 같은 내용의 대화를 나눴다고 전했다
AI 인프라 구축의 핵심인 GPU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엔비디아는 정부와 국내 4개 기업(삼성전자·SK그룹·현대차그룹·네이버클라우드)에 총 26만장의 GPU를 투입하기로 했다. 
전 세계적으로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 GPU를 한국이 우선으로 받게 된 것으로, 최대 14조원에 달하는 규모다.
또한 엔비디아는 제조, 자동차, 로봇 등 분야에서 AI 생태계 혁신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로써 한국의 주권형(소버린) AI 구축이 빨라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함께 엔비디아는 국내 기업들과 6세대 이동통신(6G), 의료, 양자컴퓨팅 부문에서도 폭넓게 협력할 계획이다.
                    
                        
                            |  |  |  | 
                            | ▲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를 접견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젠슨 황, 이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2025.10.31./사진=연합뉴스 | 
                
이 같은 내용은 엔비디아가 전날 국내외 미디어를 대상으로 온라인 사전브리핑을 열어 ‘한국 인프라·기술 발전 AI 이니셔티브’를 발표하면서 공개됐다. 
정부는 엔비디아가 제공하는 26만장의 GPU 가운데 최대 5만개 GPU를 배치해 기업과 산업의 AI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삼성과 SK그룹, 현대차그룹이 각각 최대 5만개의 GPU를, 네이버클라우드는 6만개의 GPU를 도입한다.
특히 이번에 공급되는 GPU는 최신 ‘GB200 그레이스 블랙웰’로, ‘RTX 6000 시리즈’도 일부 혼합할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추산으로 GB200의 가격이 대략 3만~4만달러라는 점을 고려하면 총 공급 규모는 10조~14조원로 추정된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과 젠슨 황 접견에선 '피지컬 AI' 등 핵심 분야에서 'AI 인프라 구축 및 기술 협력', 'AI 기술 공동연구', 'AI 인재양성 및 스타트업 지원'과 관련해 한국 측과 엔비디아 간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
먼저 AI 인프라 구축 및 기술 협력을 위해 엔비디아의 최신 GPU 총 26만장 이상을 포함해 AI 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충해 공공 및 민간의 AI 인프라 수요에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럴 경우 단순한 하드웨어 설치를 넘어서 구축·운용 기술 협업도 병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민간에서 현대차, 네이버가 피지컬 AI 등 핵심 AI 분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엔비디아와 합력하기로 했다. 이미 접견에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대차, 엔비디아는 국내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현대차와 엔비디아는 AI 자율차, AI 자율제조 등 피지컬 AI 기술개발과 특화 인재양성 추진을 통해 피지컬 AI시장을 선도해나갈 계획이다. 
네이버는 클라우드 및 AI 기반의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등 국내 모빌리티 산업과 피지컬 AI 경쟁력 강화에 적극 기여할 계획이다.
SK와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GPU를 이용해 반도체 생산 공정 개선을 위한 디지털 트윈 구축 등 피지컬 AI에 적극 투자한다. HBM 공급 확대 등 우리 기업과 엔비디아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이번에 논의됐다.
이와 함께 AI 기반 첨단기술 개발을 위해 엔비디아와 국내 산·학·연 간 기술협력도 추진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등 연구기관과 국내 슈퍼컴퓨터 6호기(‘한강’)의 양자 하이브리드 컴퓨팅 환경을 구축한다. 
                    
                        
                            |  |  |  | 
                            | ▲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북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면담 전 악수하고 있다. 2025.10.31./사진=연합뉴스 | 
                
이날 이 대통령은 젠슨 황 CEO를 만나 “전세계에서 인공지능 관련 사업을 시작하기 가장 좋은 나라, 성과를 내기 좋은 나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우리국민들이 엔비디아 투자에 정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정부 입장에서도 전폭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엔비디아가 한국에서 흑자가 확대하고, 대성공을 거둬서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골든벨을 받는 상황이 되길 바란다. 옛날 용산 전자상가에 가시는 마음으로 대한민국의 전역을 다녀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15년만에 한국을 찾은 젠슨 황 대표가 전날 이재용 회장, 정의선 회장과 함께 서울의 한 치킨집에서 소맥 러브샷을 하는 등 즐기다가 “오늘 저녁은 공짜”라며 식당의 골든벨을 울린 일을 짚어서 말한 것이다.
이에 젠슨 황 CEO는 “저는 항상 한국과 함께 성장해왔다고 생각한다. 엔비디아의 첫 번째 비즈니스는 PC게임, 컴퓨터 그래픽이었고, 엔비디아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기술 근원지라고 할 수 있다”면서 “한국은 e스포츠의 산지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저희는 함께 e스포츠를 전세계 글로벌의 트랜드로 만들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이제 AI라는 새로운 산업혁명의 시작에 서있다. 모두가 AI를 사용할 것이므로 마치 전기와 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며 “AI가 필요한 것은 기술 전문성, 혁신성, 선구안을 지닌 기업가분들, 그리고 AI 팩토리 역량이다. 이런 요소들을 완벽하게 갖춘 나라는 한국말고 어디에도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젠슨 황 대표는 ”한국은 이미 이런 많은 역량을 보유하고 있고, 대통령이 보여주신 지원, 열정, 힘을 실어주신 덕분에 한국이 전세계 AI 중심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의 젠슨 황 접견 자리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의장이 함께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