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석명 기자] LA 다저스가 최종 7차전에서 연장 접전 끝에 극적으로 승리, 월드시리즈(WS) 2년 연속 우승 쾌거를 이뤘다.
다저스는 2일(한국시간)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의 로저스센터에서 열린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2025 메이저리그(MLB) 월드시리즈(7전4선승제) 7차전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원정 경기에서 연장 11회 접전 끝에 5-4로 이겼다.
이로써 다저스는 4승 3패로 토론토를 물리치고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월드시리즈 챔피언이 됐다. MLB 역사에서 월드시리즈 2년 연속 우승은 1998년~2000년 3연패를 달성한 뉴욕 양키스 이후 다저스가 25년 만이다.
| |
 |
|
| ▲ 다저스가 토론토와 7차전 연장 승부 끝에 이겨 월드시리즈 2연패를 달성했다. /사진=LA 다저스 SNS |
다저스가 우승에 이르는 과정이 극적이었다. 3-4로 뒤지던 9회초 미겔 로하스가 동점 솔로홈런을 날려 승부를 연장으로 끌고갔다. 11회초에는 윌 스미스가 결승 솔로홈런을 터뜨렸다. 11회말에는 1사 1, 3루 역전 위기에 몰렸으나 구원 등판한 야마모토 요시노부가 병살타를 유도해내 한 점 차 승리로 마무리하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스미스가 결승타가 된 홈런을 날렸으나 사실상 다저스의 우승을 이끈 주역은 야마모토였다. 바로 전날 6차전 선발로 나서 6이닝 96구를 던지며 1실점 호투를 펼쳐 승리 투수가 돼 2승 3패로 몰려 있던 다저스를 구했던 야마모토다. 그런데 이날 4-4 동점 상황에서 다저스가 9회말 1사 1, 2루 위기를 맞자 야마모토가 구원 투수로 마운드에 올랐다. 야마모토는 9회말 위기를 넘기고 11회말까지 2⅔이닝을 무실점으로 막는 괴력투를 보여줬다.
결국 구원승을 거둔 야마모토는 이번 월드시리즈에서 다저스가 거둔 4승 가운데 3승을 혼자 책임졌다. 야마모토는 앞서 2차전에서는 완투승을 따낸 바 있다. 월드시리즈 MVP의 영광은 당연히 야마모토 차지였다.
| |
 |
|
| ▲ 2, 6차전 선발승에 이어 7차원 구원승으로 다저스의 월드시리즈 우승을 이끈 야마모토가 우승컵을 들이올리며 기뻐하고 있다. /사진=LA 다저스 SNS |
다저스의 김혜성은 드디어 이날 최종전에 월드시리즈 첫 출전을 했다. 6차전까지 한 번도 출전하지 못했던 김혜성은 다저스가 5-4로 역전한 후인 연장 11회말 2루 대수비로 교체 출전, 팀의 우승 확정 순간을 그라운드에서 동료들과 함께했다.
우승 멤버가 됨으로써 김혜성은 김병현(2001년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04년 보스턴 레드삭스) 이후 월드시리즈 우승 반지를 낀 두 번째 한국인 메이저리거가 됐다.
토론토는 1993년 이후 32년만의 WS 우승에 도전, 5차전까지 3승 2패로 앞서 정상을 눈앞에 뒀다. 하지만 6차전 1-3 패배에 이어 이날 7차전에서 통한의 역전패를 당했다. 안방에서 열린 6, 7차잔을 모두 패하며 다저스의 WS 2연패에 들러리가 되고 말았다.
이날 경기에서 먼저 기세를 올린 쪽은 토론토였다. 3회말 보 비셋이 다저스 선발 오타니 쇼헤이를 중월 3점 홈런으로 두들겨 3-0 리드를 잡았다.
| |
 |
|
| ▲ 토론토의 비셋이 3회말 다저스 선발 오타니로부터 선제 3점홈런을 터뜨리고 있다. /사진=MLB닷컴 홈페이지 |
4차전 선발로 나서 6이닝 4실점 패전 투수가 됐던 오타니는 사흘만 쉬고 다시 선발로 마운드에 올랐으나 비셋에게 홈런을 맞고 조기 강판했다. 오타니의 이날 투구 성적은 2⅓이닝 5피안타(1홈런) 2볼넷 3탈삼진 3실점. 투타 겸업을 하면서 두 차례나 선발 마운드에 오르는 강행군을 해 구위가 많이 떨어진 결과라 할 수 있다.
다저스는 4회초 곧바로 반격에 나서 스미스의 2루타와 프레디 프리먼의 안타, 맥스 먼시의 볼넷으로 1사 만루를 만들었다. 여기서 테오스카 에르난데스의 희생플라이로 1점만 만회했다.
다저스가 6회초 1사 1, 3루 찬스를 엮어 토미 에드먼의 희생플라이로 한 점을 더 냈지만, 토론토도 6회말 안드레스 히메네스의 적시 2루타로 한 점을 뽑아 4-2로 2점 차를 유지했다.
| |
 |
|
| ▲ 다저스의 로하스가 9회초 극적인 동점홈런을 터뜨린 후 세리머니를 펼치고 있다. /사진=LA 다저스 SNS |
| |
 |
|
| ▲ 다저스의 스미스가 연장 11회초 결승타가 된 솔로홈런을 터뜨린 후 환호하고 있다. /사진=LA 다저스 SNS |
다저스가 그냥 물러서지 않았다. 8회초 맥스 먼시의 솔로 홈런으로 3-4로 추격했고, 9회초에는 로하스의 솔로포가 터져 기어이 4-4 동점을 만들었다. 연장 11회초 스미스의 결승 솔로홈런까지, 다저스는 경기 후반 홈런 세 방으로 경기를 뒤집는 저력을 보여줬다.
토론토는 9회말 1사 만루의 끝내기 기회를 살리지 못한 것이 첫 번째로 뼈아픈 장면이었다. 달튼 바쇼가 2루수 땅볼을 쳤을 때 3루주자가 홈에서 포스아웃됐고, 이어진 2사 만루에서 어니 클레멘트는 중견수 플라이 아웃됐다. 구원 등판했던 다저스 투수 야마모토가 끝내기 위기를 잘 넘겼다.
4-5로 뒤진 11회말에도 토로토는 1사 1, 3루의 최소한 동점을 올릴 수 있는 찬스를 만들었다. 여기서 알레한드로 커크가 유격수 쪽 병살타를 친 것이 통한의 장면이 됐다. 야마모토가 땅볼 유도한 볼을 잡은 유격수 무키 베츠가 직접 2루 베이스를 밟고 정확한 1루 송구로 더블 플레이를 성공시켰다. 다저스 선수들은 감격의 환호성을 내질렀고, 토론토 선수들은 망연자실할 수밖에 없었다.
[미디어펜=석명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