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주혜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3일 정년연장특별위원회를 출범하고 정년 연장 논의를 연내 입법 목표로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특위 킥오프 회의를 통해 "우리 사회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노동력 부족과 연금 재정 불안정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정년 연장은 고용자의 소득 공백을 메우고 연금 재정을 안정시키며 숙련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긍정적인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김 원내대표는 "청년 고용 위축과 기업의 부담 증가 가능성은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며 "세대와 노사를 아우르는 사회적 대화와 공론화 장과 정년 연장에 대해서는 반드시 조기에 진지한 결론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 |
 |
|
| ▲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가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년연장특별위원회 제1차 본위원회의에서 소병훈 위원장, 김주영 간사 등 참석자들과 기념촬영 하고 있다. 2025.11.3./사진=연합뉴스 |
소병훈 특위 위원장은 "정년 연장 논의는 단순히 퇴직 시점을 늦추는 것을 넘어 세대 간 형평성과 공평성 등 합리적 공존을 이끌어내야 하는 우리 사회 전반적 구조 개혁을 요구하는 종합적 과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각계의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만큼 국민 눈높이에 맞는 해법을 찾겠다"고 덧붙였다.
특위 간사인 김주영 의원은 "이재명 정부의 국정기획위원회 보고에 발맞춰 특위는 속도감 있게 논의를 이어가고 연내 입법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민주당은 정년 연장 논의를 고령층 복지와 청년 일자리 구조 개선의 계기로 삼고 공청회와 노사정 협의를 통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한 뒤 연금 개혁과 고용 안정 대책을 포함한 '고령사회 종합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중장년층 재교육·재배치 정책도 함께 추진해 숙련 인력의 재투입 기반을 마련한다는 구상으로 앞서 정부가 발표한 정년 65세 상향 방안을 이재명 정부의 핵심 국정 과제로 보고 연내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미디어펜=김주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