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준모 기자]한국전력이 2025 APEC 정상회의 기간 동안 무결점 전력 운영을 달성하며, 정부·지자체·유관기관과의 공조를 통해 국가적 대형 국제행사의 성공적 운영을 뒷받침했다.
한전은 2025 APEC 정상회의와 전국 주요 도시에서 열린 고위·장관급 실무자 회의 기간 동안 단 한건의 정전 없이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완수했다고 3일 밝혔다.
| |
 |
|
| ▲ 김동철 한전 사장(가운데)이 APEC 행사 준비를 위해 전력설비 현장점검을 하고 있다./사진=한전 제공 |
한전은 지난해 6월 APEC 개최지가 경주로 확정된 이후 비상 전력대응체제를 가동했다. 올해 2월 경주에서 열린 제1차 고위관리회의를 시작으로 부산·제주·인천·서울 등에서 진행된 모든 회의마다 전력확보 상황실을 운영하고 공급선로 계통 점검과 설비 진단, 현장 비상대기 등을 시행해 무정전 운영에 만전을 기했다. 이 과정에서 연인원 6400여 명의 인력을 투입, 안정적인 행사 운영을 지원했다.
올해 7월부터는 APEC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전사 비상대응 체계를 운영했다. 지능형 배전망 관리시스템(ADMS)을 활용해 주요 행사장 및 정상 숙소에 대한 전력공급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GPS 기반 출동관리 시스템과 특별기동대를 가동해 상황 발생 시 즉각 대응이 가능한 체계를 갖췄다.
특히 정상회의가 열린 경주 보문관광단지의 전력 안정성 강화를 위해 약 100억 원을 투입해 신규 배전선로 설치, 노후설비 교체, 과부하 해소 및 미관 개선 공사도 완료했다.
아울러 경상북도·경주시·한국전기안전공사 등 유관기관의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경상북도 APEC 준비지원단에 전문 기술인력을 파견해 전력 점검 및 대응체계를 운영했다. 행사장 전력설비 검측, 전담인력 상시배치, 비상발전기 및 UPS 포함 4중 전력체계 구축, 24시간 상황실 운영 등을 통해 비상대응 능력을 강화했다.
정부 관계자는 “세계 정상들이 모인 국제행사를 완벽히 지원한 모범 사례”라며 “한전의 차원 높은 전력 인프라와 대응능력 수준을 다시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2025 APEC 정상회의와 전국 고위·장관급 회의에서 무정전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은 현장 기술진과 전 직원의 헌신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국가 중요행사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해 대한민국의 국제적 신뢰도를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박준모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