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한미 정상회담에서 한국의 원자력 추진 잠수함 핵연료(저농축 우라늄) 공급을 미국이 수용한 가운데 국방부는 2030년 중후반 쯤 핵추진 잠수함 진수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한미안보협의회(SCM) 참석 차 방한한 피트 헤그세스 미국 전쟁부(국방부) 장관은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도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원종대 국방부 자원관리실장은 4일 국무회의에서 “지금까지 확보한 핵심기술과 국가 역량을 결집하면 우리 기술로 핵잠수함 건조가 가능하고, 미국 측에서 핵잠수함 연료를 확보하면 2020년 후반 건조 단계에 진입해 2030년대 중후반에 선두함 진수가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원 실장은 “우리 정부는 오랜 기간 동안 핵잠수함 건조를 위해 제반 여건을 단계적으로 구축해왔고, 그 과정에서 핵잠수함 연료 확보가 가장 난제였다”며 “우리는 재래식 잠수함에 있어서 세계적 수준의 설계 및 건조 능력을 이미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핵잠수함에 탑재될 무장체계 등 핵잠수함 건조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계속해서 확보 중에 있다. 안정성에 대한 검증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원 실장은 “핵잠수함 연료공급에 관한 구체적 협의를 추진하는 한미 외교 및 국방당국 간 실무협의체 구성을 추진하고, 국방부 단일 부처 차원을 넘어 정부 역량을 결집해 국가전략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추진하겠다”고 보고했다.
그는 “원자로를 잠수함에 적용하는 최초 사례인만큼 안전규제 관련 법령 등 제도적 기반 구축도 병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미 당국은 국방비 증액,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문제를 비롯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도입 추진을 담은 조인트 팩트시트 문구를 조율 중으로 이번 주 중 발표할 것으로 전망된다.
| |
 |
|
| ▲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부(전쟁부) 장관과 면담 전 악수하고 있다. 2025.11.4./사진=연합뉴스
|
한편, 안 장관과 헤그세스 장관은 이날 제57차 SCM을 열고, 한미 정상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도입에 합의한 데 따른 후속조치를 논의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을 찾아 이재명 대통령을 예방하기도 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안 장관과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도입을) 승인한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해 드린다”며 “당연히 군당국에선 최선을 다해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어느 대통령도 하지 못한 거래를 만들어낸 ‘딜 메이커 치프’”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대한민국이 더 큰 능력을 갖는 것에 대해 마음을 열고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승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핵추진 잠수함 도입과 관련해 전쟁부 외 국무부, 에너지부 등과 긴밀하게 협조할 것”이라며 “핵추진 잠수함이 한국의 자체 방어뿐 아니라 한미동맹에도 도움이 된다는 확신을 갖는다”라고 강조했다.
두 장관은 조선업을 포함한 양국 방위산업 협력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이와 관련 헤그세스 장관은 “한국은 조선업에서 세계적인 능력을 갖추고 있고, 잠수함뿐 아니라 수상함에서의 협력도 확대·심화해나가길 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핵추진 잠수함 건조 조선소를 미국의 ‘필리 조선소’로 지목한 것과 관련해 잠수함 외에도 전투함, 수상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미 양국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발언으로 보인다.
한미는 곧 실무협상 채널을 구성해 건조할 조선소 등을 포함한 핵추진 잠수함 사업의 세부 사항에 대한 협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안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도입을 승인한 것과 관련해 ‘한국이 핵무기 도입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나’라는 질문을 받고 “비핵화는 흔들림 없는 약속”이라고 선을 그었다.
안 장관은 “한국은 핵확산금지조약(NPT) 가입국으로 핵을 본질적으로 가질 수 없는 나라”라며 “대한민국에서 핵무기 개발은 있을 수 없으며, 그렇기 때문에 미국과 핵·재래식 통합(CNI)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