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김동철 한국전력공사(KEPCO) 사장이 원전 수출과 관련해 “한전의 브랜드파워는 국내 어느 기관보다도 높다”면서 “계약이나 수주, 파이낸스 등 자금조달뿐 아니라 금리까지 합리적인 수준에서 해 온 강점이 있기 떄문에 한전이 역할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 |
 |
|
| ▲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이 5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BIXPO 2025’ 개막식 이후 기자간담회를 갖고 기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사진=한전 |
김동철 한전 사장은 5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BIXPO 2025’ 개막식 이후 기자들과 만나 ‘원전 수출 일원화’와 관련한 질문에 이같이 답하면서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전 수출 권한을 빼앗아 오겠다는 것이 아니라, 한수원과 한전의 강점을 각각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정리가 되면 좋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에 덧붙여 김 사장은 “정부가 어떤 결정을 내리든 따르겠지만 결정이 나오기 전까지 의견을 개진하는 것”이라며 “정부는 정부대로 더 큰 차원에서 고민하고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한전과 한수원이 UAE 바라카 원전 건설 과정에서 약 1조4000억 원(10억 달러) 규모의 추가 비용 정산을 두고 정산 방식과 책임 주체 등에 대한 갈등으로 소송전까지 치닫는 것에 관련해서도 입장을 내놨다.
김 사장은 “한전은 바라카 사업의 주계약자이자 사업관리자로, 발주처로부터 사업을 받아 팀코리아에 배분해주는 구조인데, 모든 관련 사안에 있어서 발주처가 요구하는 증빙이 없으면 사업비 지급이 불가하다”면서 “물론 지출은 오래됐는데 보증이 늦어지는 등 각사의 사정이 있지만 증빙이 없어 한전이 (발주처에서)받지 못한 돈을 줄 수는 없는 게 원칙”이라고 말했다.
그 과정 중에 불거진 배임 논란에 대해서는 한전과 한수원의 특수관계를 짚었다. “팀코리아는 협조를 잘해서 발주처에서 최대한 받아가면 될 일로, 팀코리아가 싸울 이유가 없다”며 선을 그었다.
한전 측은 “한전과 한수원은 한전의 100% 자회사이며 연결재무재표로 묶여 있는 경제적 동일체라고 봐도 무방하기 때문에 한전그룹 입장에서 채권이 성립하지 않고 동일한 재무실적에 영향은 거의 없다. 다만, (소송으로)런던중재재판소에 가게 되면 수백억원의 중재비용을 지불해야 해 국부 유출 논란이 있다”며 “이에 정부가 개입해 조치를 취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또한 정부의 에너지 신사업 확대의 전략적 측면에서도 한전의 역할론을 들며 정부가 제도 개선을 통해 한전의 참여를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그중 하나인 해상풍력 발전에 대해서는 “현재 발전사업인 해상풍력은 한전이 할 수 없도록 한 전기사업법 때문에 SPC 형태로 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초기에 천문학적인 금액이 들어가지만 시장이 형성이 안 돼 민간기업 단독으로는 뛰어들기 어려운 구조로, 한전이 제한적이라도 일정 부분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민간 지본 투입은 전기요금 상승 등을 부를 수 있다며 발전비용의 최소화와 안전성, 규모의 투자를 통한 현실성을 들며 긍정적인 역할을 기대했다.
재생에너지의 확대와 정부가 추진하는 탄소중립을 향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등과 관련해서는 “속도가 문제”라면서도 “전 세계적 흐름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이며, 한전은 집행기관인 만큼 정부가 결정한 사안에 대해서는 최대한 따르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