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개 어촌에 해감장치·전자부이 등 신제품 보급, 민·관·공 협력으로 해양신산업 확산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해양수산부가 금융권과 손잡고 어촌 현장에 창업기업의 혁신제품을 보급하는 새로운 실험에 나섰다. 단순 지원을 넘어 ESG(환경·사회·투명경영) 가치와 연계한 창업 육성 모델을 통해 해양신산업의 현장 확산과 어촌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노린다.

   
▲ 다시바다와 동삼동어촌계가 폐해녀복을 황용해 제작한 업사이클 상품./사진=해양수산부


해수부는 신한은행,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과 함께 ‘해양수산 신산업 및 ESG 창업기업 지원사업’을 추진해 개발된 혁신제품을 전국 23개 어촌에 보급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12월 체결된 ‘해양수산 창업기업 육성 및 ESG 신사업 추진 업무협약’을 실질 사업화한 첫 사례다.

신한은행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에 7억 원을 출연했고 해수부는 이를 활용해 창업기업의 제품개발과 어촌 보급을 지원했다. 선정된 기업은 ㈜앤이에스솔루션, 디에이마린, ㈜다시바다 등 3곳이다. 이들은 △나노버블 기술을 이용한 신속 패류 해감장치 △전자 어망 부이 및 수신기 △폐해녀복을 활용한 업사이클 상품 등을 개발해 어촌 현장에 공급했다.

특히 이번 사업은 단순 기금지원에 그치지 않고 제품 실증과 어촌 맞춤형 적용 과정을 병행했다는 점에서 기존 창업지원과 차별화된다. 어촌계 주민의 수요를 반영한 제품 개발이 이뤄지면서 창업기업에는 기술 실증 기회를, 어촌에는 현장 혁신효과를 제공하는 구조가 만들어졌다.

해수부와 신한은행,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한국어촌어항공단 등은 제품 보급 과정에서 어촌계 특화 프로그램과 환경정화 활동을 병행하며 ESG 실천을 확장했다. 정부·민간·공공기관이 함께 참여한 협력 모델로, 향후 해양창업기업의 지속가능경영과 지역 상생을 연결하는 사례로 평가된다.

김명진 해수부 해양정책관은 “창업기업이 어촌에 필요한 혁신제품을 개발하고, 그 성과를 다시 지역으로 환원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ESG를 축으로 한 창업기업 육성과 어촌 상생 모델을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