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 기반 완전자율운항선박 개발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확정하며 세계 시장 선도를 위한 기술 경쟁에 속도를 낸다.
| |
 |
|
| ▲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개념도./사진=해수부 |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 ‘인공지능(AI) 완전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사업’이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으로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지난 10월 21일 국무회의에서도 필요성과 시급성을 인정받아 추진이 의결된 바 있다.
이번 사업은 국제해사기구(IMO)가 정의한 최고 단계인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운항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한다. IMO는 자율운항선박의 기술 수준을 △레벨1(선원의 의사결정 지원) △레벨2(선원 승선 원격제어) △레벨3(선원 미승선 원격제어) △레벨4(완전무인 자율운항)으로 구분한다.
AI 자율운항선박은 운항 전 과정에 인공지능 기반 인지·판단·제어 기능을 결합한 미래형 선박으로, 해운·조선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핵심 기술로 꼽힌다. 탈탄소·디지털 기술을 융합한 해양 모빌리티 산업의 중심축으로, 해상 수송과 관련 서비스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1603억 원 규모의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레벨3 단계 기술을 개발하고 IMO 국제표준 제정 과정에 참여해왔다. 이번 예타 면제 확정으로 2026년부터 2032년까지 추진되는 후속 사업에서는 완전무인 자율운항을 위한 △무인 항해 △기관 자동화 △운용 및 실증기술 △검인증 체계 개발이 중점적으로 진행된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32년까지 1805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글로벌 자율운항선박 시장(출처: Acute Market Reports, 2022)을 선점하고, 조선·해운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주도한다는 구상이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완전자율운항선박 기술 확보는 해운·조선 주도권을 지키기 위한 필수 과제”라며 “선행사업 성과를 토대로 핵심 기술을 조기에 확보하고 미래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