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주혜 기자] 해병대원 순직사건 의혹의 정점으로 지목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8일 순직해병 특검팀(이명현 특검)의 소환 요구에 또다시 불응했다. 이에 특검팀은 강제 인치 방안을 논의했으나, 오는 11일 다시 출석하라고 통보했다.

이들은 이날 오후 공지를 통해 "오는 11일 오전 10시에 다시 출석하라는 출석요구서를 서울구치소에 발송 완료했고 변호인인 송진호·채명성 변호사에게도 통지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지난달 23일에 이어 두 번째로 특검 조사에 불응하며 이날 오전 언론을 통해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해 특검 소환 조사를 출석하지 않는다"고  공지한 바 있다. 

   
▲ 특수공무집행방해,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으로 추가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9월 2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 서관 417호에서 열린 재판에 불출석 85일 만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특검팀은 이에 수사 기간이 3주밖에 남지 않았고 윤 전 대통령 관련 제반 사정을 고려해 변호인 측에 충분한 시간을 줬기 때문에 더 이상 조사 일정을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정민영 특검보는 전날(7일) "강제 구인 등 대응방안을 다 논의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검토는 하고 있지만 아직 결정한 것은 없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날 조사가 불발됨에 따라 법원으로부터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서울구치소에 수용된 윤 전 대통령을 강제 인치하는 방안 등을 고려했으나, 결국 11일 재소환을 통보하는 것으로 결정한 것이다.

한편 윤 전 대통령은 2023년 7월 해병대원 순직 사건과 관련해 제기된 수사 외압 의혹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범인도피 의혹(일명 '런종섭 의혹')으로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및 범인도피 등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수사 결과를 보고받은 뒤 격노해 수사 기록 회수·수정과 박정훈 해병대수사단장(대령)에 대한 항명 혐의 수사·기소 과정에 관여한 것으로 지목된다. 

또한 2023년 말 이 전 장관을 해외로 도피시키기 위해 주호주대사로 임명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미디어펜=김주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