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중심 탄소중립 사회 실현에 기여”
광역 1곳, 기초 도봉·부천·용인·청주·원주 5곳 지정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올해 환경교육도시로 광역시에서는 인천광역시가, 기초지자체에서는 도봉구, 부천시, 용인시, 청주시, 원주시가 선정됐다.

   
▲ 올 상반기 환경부에서 주관했던 제4회 환경교육주간 포스터./자료=기후부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2025년도 환경교육도시’를 공모한 결과, 총 6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환경교육도시 지정 제도는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환경교육 계획 또는 추진실적이 우수하거나 환경교육 추진기반이 잘 갖춰진 지자체의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해 2022년도에 처음 도입, 현재 13곳의 지자체가 지정돼 운영되고 있다.

이번 환경교육도시 공모는 올해 6월 20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됐으며, 지자체에서는 광역 2곳, 기초 13곳 등 총 15곳이 신청했다. 

평가는 환경교육 추진 기반, 환경교육 성과, 환경교육 계획의 우수성 등을 중점으로 이뤄졌으며 환경교육, 교육일반, 환경행정, 도시계획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평가위원들이 서류와 현장 평가를 거쳐 환경교육위원회에서 최종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6곳의 지자체들은 지역 환경교육 활성화 조례, 자체 환경교육 계획 수립 및 이행, 지역환경교육센터의 운영 활성화 등 전반적으로 환경교육 기반을 잘 갖추고 있다. 

또한 환경교육도시 운영을 통해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하고 탄소중립 사회를 실현하려는 지자체장의 의지도 매우 높았던 것으로 평가됐다. 

각 지자체가 실현하고자 하는 환경교육도시의 미래상은 △환경을 잇는 배움으로, 미래를 잇는 인천 △탄소중립 디엔에이(DNA, Dobong Now Act)로 변화, 성장, 미래를 꿈꾸는 도봉 △환경, 시민참여, 문화가 어우러진 지속가능하고 살기 좋은 그린(GREEN) 부천 △환경교육의 르네상스를 이끄는 용인 △시민 모두의 배움과 실천으로 도시의 큰 변화를 만드는 청주 △시민의 강한 의지로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원주 등이다.

특히 인천광역시, 도봉구, 용인시는 2022년 첫 지정 이후 3년간 지역 맞춤형 환경교육의 모델을 정립하고, 지역 자원을 적극 활용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추진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아 이번에 다시 지정을 받았다.

기후부는 환경교육도시가 지역 주도의 환경교육 활성화의 본보기로 발전할 수 있도록 ‘2025년도 환경교육도시’ 지정기간인 3년 동안 전문가 컨설팅과 환경교육도시 간 상호 협력 기회를 제공하며, 환경교육 포럼을 통해 우수 성과를 전국에 알릴 예정이다. 또 국비 지원을 위한 예산 확보에도 적극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서영태 기후부 녹색전환정책관은 “환경교육도시는 교육을 통해 모든 국민의 기후위기 대응 실천역량을 강화하고, 지역사회 전체의 참여를 촉진한다”라며, “환경교육도시 지정을 계기로 지역 중심의 탈탄소 녹색사회를 실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