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성준 기자]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에 3분기 유통가 실적 희비가 엇갈렸다. 소비쿠폰 사용처인 편의점과 소비심리 개선 덕을 본 백화점은 실적이 개선됐지만, 손님을 편의점·전통시장 등에 뺏긴 대형마트는 매출 감소 직격탄을 맞았다. 2차 소비쿠폰 효과가 이어지면서 대형마트 4분기 실적에도 먹구름이 꼈다.
| |
 |
|
| ▲ ‘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에 편의점과 대형마트가 3분기 엇갈린 실적을 거뒀다. 사진은 서울 한 편의점에 소비쿠폰 사용처 안내물이 부착돼 있는 모습./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10일 GS리테일에 따르면 3분기 편의점 GS25 매출은 2조4485억 원, 영업이익은 851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6.1%, 16.7% 늘며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거뒀다. 같은 기간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도 3분기 매출 2조4623억 원(+5.9%), 영업이익 977억 원(+7.1%)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BGF리테일 매출에서 CU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98% 수준이다.
유통업계에서는 편의점 ‘빅2’ 실적 개선에 소비쿠폰 효과가 주효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경기 진작과 내수 활성화를 위해 지난 7월21일부터 10월31일까지 1차 9조693억원, 2차 4조4527억 원 등 총 13조5220억 원 규모 소비쿠폰을 지급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급된 소비쿠폰 중 편의점 사용 비중은 9.5%(9월14일 기준)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이 편의점에서 약 1조3000억 원 어치 물건을 ‘공짜’로 살 수 있게 된 셈이다.
백화점은 소비쿠폰 사용처에선 제외됐지만 간접적인 수혜를 입으며 3분기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 롯데·신세계·현대 백화점 3사 2분기 매출은 2.1%, 1.4%, 2.2% 줄었지만, 3분기에는 1.3%, 0.5%, 1.5% 늘었다. 경기 침체로 상반기 부진했던 패션 부문 매출이 소비쿠폰 지급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 효과로 판매 호조를 보인 덕분이다. 패션 부문은 백화점 매출에서 약 40% 정도를 차지하는데, 경기 민감도가 높아 소비심리 위축 시 가장 먼저 타격을 입는 업종으로 꼽힌다. 소비쿠폰으로 외식·생필품 등에서 지출을 아낀 소비자들이 환절기를 맞아 의류 구매 등에 지갑을 연 것으로 풀이된다.
백화점과 달리 대형마트는 소비쿠폰이 악재로 작용하며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소비쿠폰 사용처인 편의점과 동네마트, 전통시장 등에 장보기 수요를 잠식당한 탓이다. 이마트의 경우 7월 총매출은 전년동기대비 4.4% 증가했지만, 소비쿠폰 사용이 본격화된 8~9월 총매출은 4.4% 감소했다. 특히 할인점(대형마트)은 8~9월 총매출이 6.2% 역신장했다. 롯데마트·슈퍼도 3분기 매출이 8.8%, 영업이익이 85.1% 감소하며 우울한 성적표를 받았다.
소비쿠폰 지급을 앞두고 대형마트 업계는 10% 안팎의 매출 타격이 있을 것으로 우려했다. 과거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재난지원금 지급 후 매출이 급감했던 전적이 있기 때문이다. 대형마트는 소비쿠폰 지급 시기에 맞춰 대규모 할인전을 개최하는 등 소비자 발길 붙잡기에 총력을 기울였지만, 결과적으로 매출 하락을 온전히 방어하진 못한 모습이다. 업계에서는 소비쿠폰 사용 기한이 11월 말까지인 만큼 4분기 실적까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소비쿠폰이 ‘대형마트 때리기’ 효과를 내면서 대형마트 업계에선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내수 부진 여파를 뒤집어쓰고 이커머스와의 힘겨루기에서도 밀려나고 있는 상황에서, 소비쿠폰이 비수가 됐다는 평가다. 기존 의무휴업일을 공휴일로 강제하는 방안이 논의되는 등 대형마트 규제가 강화될 조짐이 보이면서 불만의 목소리는 더 커지고 있다. 특히 대형마트 휴업일에도 전통시장이 뚜렷한 반사이익을 거두지 못하는 등 규제 실효성이 도마 위에 오르면서, 현실과 동떨어진 규제가 대형마트 업계의 경쟁력을 갉아먹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유통업계 소비트렌드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많이 전이된 상황에서 오프라인에만 일방적으로 규제를 적용하는 것은 공정 경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최근 오프라인 점포 의무휴무일을 평일로 옮긴 지자체의 경우, 점포 부근 전통시장이 점포 오픈 시 함께 활성화된다는 연구사례가 있어 오프라인에 대한 일방적 규제가 주변 소상공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디어펜=김성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