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성수익성 리스크 확대 가능성도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5대 금융그룹이 향후 5년간 총 500조원 이상을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생산적 금융'에 투입하기로 하면서 정책 부응 경쟁이 과열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은행의 기업 대출 연체 부담이 이미 누적된 상황에서 생산적 금융 확대가 은행의 건전성과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 5대 금융그룹이 향후 5년간 총 500조원 이상을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생산적 금융'에 투입하기로 하면서 정책 부응 경쟁이 과열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사진=김상문 기자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의 3분기 말 요주의 여신(연체 1∼3개월)은 18조3490억원으로, 전년 동기(18조1210억원) 대비 1.3% 증가했다. 고정이하여신(NPL·연체 3개월 이상)도 9조2682억원으로 집계돼 지난해 동기(7조8651억원)보다 17.8% 급증가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은행의 부실 감당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단순평균 NPL커버리지비율(대손충당금 잔액/고정이하여신)은 123.1%로 역대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작년 3분기 말(141.6%)과 비교해 1년 사이 18.5%포인트(p) 급락한 수치다. 부실증가와 커버리지 급락이 겹치면서 은행의 리스크 관리 능력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평가다.

은행들이 정부 정책 기조에 맞춰 무리하게 생산적 금융을 확대하면 단기적 수익 악화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건전성까지 해칠 우려가 있다. 실제 생산적 금융 확대 과정에서 은행의 위험도가 높은 기업 대출이 늘어나면 은행의 이자수익 증가에도 연체와 부실 확대 부담이 동반될 수 있다.

KB금융과 신한금융은 지난 9일 향후 5년간 110조원의 규모 자금을 생산적·포용 금융에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9월 우리금융(80조원)을 시작으로 하나금융(100조원), NH농협금융(108조원)이 이미 계획을 발표하면서 5대 금융의 생산적 금융투자가 본격화됐다. 이에 따라 정부 정책 부응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생산적 금융은 혁신기업과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금융 사각지대에 놓인 계층에게도 금융 혜택을 제공하는 등 포용적 금융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금융권에서는 정책 취지와 달리 이미 누적된 연체 부담과 NPL증가로 은행의 건전성과 수익성 악화를 동시에 압박받고 있어, 향후 투자 집행 과정에서 위험관리와 대손 충당금 전립 등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건전성 유지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 정책 부응 경쟁이 심화되면서 은행 간 과열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정책 취지와 달리 건선성 악화와 수익성 감소, 부실 확대 우려가 큰 만큼 단순한 금액을 늘리기보단 이들 간의 균형을 고려한 선별적 투자가 우선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