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권동현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일정을 마치고 중동·아프리카 순방 마지막 방문국인 튀르키예로 출국했다.
이로써 이 대통령은 지난 6월 취임 이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유엔총회,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 이어 G20까지 참석하며 올해 다자외교 일정을 사실상 마무리하게 됐다.
이 대통령은 지난 21일 아랍에미리트(UAE)·이집트 방문을 마친 뒤 남아공 요하네스버그로 이동해 G20 3개 공식 세션에 참석했다.
| |
 |
|
| ▲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일정을 마친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3일(현지시간) 다음 국빈 방문지인 튀르키예로 가기 위해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OR탐보 국제공항에서 공군 1호기로 향하고 있다. 2025.11.24./사진=연합뉴스
|
첫 번째 세션에서 이 대통령은 국제적 포용 성장을 위한 해법으로 △개발도상국 부채 취약성 완화 △다자무역체제 기능 회복 △개발 협력 효과성 향상 등을 제안했다.
이후 세션에서는 기후 위기 대응 강화와 ‘글로벌 인공지능(AI) 기본사회’ 달성을 위해 국제사회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 대통령은 프랑스·독일 정상에 이어 인도·브라질 정상과의 양자 회동을 이어갔고, 한국이 주도하는 중견 5개국 협의체 믹타(MIKTA) 정상 회동 등 별도 외교 일정도 병행했다.
이 대통령은 24일 오전 중동·아프리카 순방 일정 중 마지막 방문지인 튀르키예에 도착해 곧바로 1박 2일 국빈 방문 일정에 돌입한다.
이 대통령은 튀르키예 국부 묘소를 방문해 헌화한 후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방산·원자력 분야 협력 강화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 대통령은 이로써 올해 주요 외교 일정을 사실상 마무리한다.
대통령실은 지난해 비상계엄 등으로 외교 불확실성이 컸던 가운데 이 대통령의 연이은 다자회의 참석을 통해 한국이 국제사회에 성공적으로 복귀했다고 자평한다.
주요 외교 일정 대부분을 마친 이 대통령은 귀국 후 사법·경제·사회 분야 개혁, AI 기반 전환 대응, 관세 협상 후속 조치 등 국내 현안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디어펜=권동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