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단원고 아이들 바다 속에 있다”는데 사고 현장에선 웃는 세월호 특조위

[미디어펜=김규태기자]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조사관들이 지난 22일 세월호 침몰 해역에서 웃으며 기념사진을 찍은 것이 뒤늦게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특조위 조사관 3명은 11월 22일 세월호 선체에 대한 수중 촬영을 마친 뒤 촬영에 참여한 민간 잠수부들과 침몰 해역 어선 위에서 환히 웃으며 기념사진을 찍었다.

이는 함께 있던 다른 이가 자신의 블로그에 사진을 올리면서 밝혀졌고, 현재 해당 블로그(Undersea Ex)의 게시물은 비공개로 전환된 상태다. 언더씨 익스는 19일부터 22일까지 세월호 선체 수중실지조사를 실시했던 수중촬영업체다.

특조위 조사관 일부의 이러한 기념사진 촬영을 두고 일각에서는 부적절한 처신이 아니었느냐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사고해역에서 작업을 마치고 웃으며 기념사진을 찍은 세월호 특조위 조사관 3명은 이헌 세월호 특조위 부위원장 겸 사무처장의 말에 따르면 좌파단체 출신의 별정직 공무원이다. 데일리안이 확인한 바에 따르면 특조위 조사관 3명은 각각 좌파시민단체, 야당 의원실, 민변 출신이라고 확인됐다.

앞서 세월호 참사 직후 팽목항 일대에서 사진촬영을 했던 안전행정부 국장과 새누리당 국회의원도 곤욕을 치른 적이 있다.

이를 비판했던 세월호 유족들과 일부 국민들에 의해 안행부 관리와 여당 국회의원이 곤욕을 치루었지만, 정작 세월호 특조위의 조사관들이 이러한 사진을 찍은 것에 대한 비판여론은 일지 않고 있어, 세월호 특조위의 편향성과 이중잣대는 다시 한번 호사가들의 입방아에 오르고 있다.

   
▲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조사관들이 지난 22일 세월호 침몰 해역에서 웃으며 기념사진을 찍은 것이 뒤늦게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특조위 조사관 3명은 11월 22일 세월호 선체에 대한 수중 촬영을 마친 뒤 촬영에 참여한 민간 잠수부들과 침몰 해역 어선 위에서 환히 웃으며 기념사진을 찍었다./사진=네이버블로그(Undersea Ex) 게시물 캡처

이에 대해 이헌 세월호 특조위 부위원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사진을 찍은) 직원들은 특조위의 정치집단화, 위원장의 사조직화에 앞장선 이른바 특조위 주도세력의 일원”이라면서 “저와는 반대의 입장에 있거나 제가 허수아비 사무처장일지라도 제가 특조위 직원들의 근무기강을 책임진 사무처장으로서 직원들의 최소한 공무원의 품위유지의무 조차 지키지 아니하도록 방치한 책임감을 무겁게 느낀다”고 강조했다.

세월호 특조위의 역할과 처신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민들은 세월호 특조위 일부 조사관들의 이러한 행동에 대해 “특조위의 가면이 벗겨진 사진이군요”, “상갓집 촬영은 예의가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 “지난 세월호 사고 때 행안부 국장이 현장기록사진 찍었다고 해임시킨 것들이”, “바다낚시 간 동호회 회원인듯 넘 행복해 한다. 아직도 애들 바닷 속에 있다면서...좋냐?”, “세월호특조위 위원장을 비롯 특조위는 당장 해체하여야 한다”라면서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