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상일 기자] 한국의 노동시장은 근속기간은 짧고 노동시간은 길며 성별 임금격차 역시 선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고용노동부의 노동통계 자료인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을 보여주는 평균 근속기간이 한국은 5.6년인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 통계가 발표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5개국 중 가장 짧은 수준이다.
특히 이탈리아(12.2년), 슬로베니아(11.6년), 프랑스(11.4년) 등의 근속기간은 우리나라의 2배가 넘었다. OECD 평균은 9.5년이다.
전체 근로자 대비 임시직 근로자 비중 역시 우리나라는 21.7%로 OECD 29개국 중 5위에 올랐다. OECD 평균은 13.9%다.
근속기간은 최단인 반면 연간 노동시간은 OECD 중에서도 최장인 평균 2057시간을 기록했다. OECD 평균(1706시간)보다 300시간 이상 길다.
독일(1천302시간), 네덜란드(1347시간), 프랑스(1387시간), 벨기에(1430시간) 등 대부분의 서유럽 국가는 1500시간에 못 미쳤다.
우리나라보다 노동시간이 긴 멕시코는 2228시간에 달했다.
실질적인 은퇴 시점을 보여주는 지표인 유효 은퇴연령은 우리나라 남성이 평균 71.1세로, 멕시코(72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여성의 유효 은퇴연령도 69.8세로 칠레(70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고소득 근로자(D9)의 소득이 저소득 근로자(D1)의 몇 배나 되는지를 측정한 분배지표는 4.6으로, OECD 회원국 중 불평등 문제가 가장 심각한 미국(5.2)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중위임금의 3분의 2 미만을 받는 저임금 근로자의 비중은 23.9%로 이 역시 미국(25.3%)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성별 임금격차는 OECD 22개국 중 가장 컸다.
한국의 성별 임금차이는 OECD 평균(14.5)의 두 배가 넘는 36.3으로, 남성 임금이 100일 때 여성 임금은 63.7에 불과하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