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북한 4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으로 우리 군이 8일 정오를 기해 군사분계선(MDL) 일대에 설치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전면 개시한 가운데, 군은 북한군이 확성기 방송시설을 공격하면 북한군보다 3~4배의 화력을 쏟아 부어 응징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날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는 작년 8.25 합의로 심리전을 중단한지 136일 만에 행해진 것으로, 공교롭게도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생일을 맞아 이뤄진 것이기도 하다.
재개된 대북 확성기 방송에는 핵실험을 강행한 김정은 정권에 대한 비판 내용이 담겨 있어 북한의 강한 반발 및 이에 따른 국지도발이 예상된다.
전방지역에는 긴장감이 감돌고 있는 가운데 북한의 급작스런 도발에 대비, 확성기 방송시설이 설치된 최전방 11곳 지역에 모두 최고경계태세(A급)가 발령되어 있다.
군 최고경계태세에 따라 해당 최전방 지역에는 폐쇄회로(CC)TV와 적외선감시장비가 장착된 무인정찰기, 대포병탐지레이더(AN/TPQ-36), 토우 대전차미사일, 대공방어무기 비호, K-4 고속유탄기관총, K-3 기관총, 90㎜ 무반동총 등 대북 경계·감시·타격 무기가 속속 보강됐다.
군 관계자는 “북한 핵실험에 대한 응징 차원에서 확성기 방송 재개가 결정된 만큼 심리전 방송 작전에 빈틈 없도록 할 것”이라며 “만약 북한군이 확성기 방송시설이나 인근 지역에 포격도발을 감행한다면 필요한 만큼 처절하게 응징할 것”이라고 말했다.
군은 북한군이 도발을 감행한 후 추가 도발의지를 꺾지 않고 재차 공격한다면 유엔헌장에 따른 자위권 차원에서 ‘필요한 만큼 충분한’ 화력으로 대응, 응징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
 |
|
▲ 전방지역에는 긴장감이 감돌고 있는 가운데 북한의 급작스런 도발에 대비, 확성기 방송시설이 설치된 최전방 11곳 지역에 모두 최고경계태세(A급)가 발령되어 있다./사진=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