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 한일 간 위안부 12·28 합의를 둘러싸고 ‘아베 총리의 피해자 직접 사죄 거부’ 및 기록물 유네스코 등재 등 국내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외교부가 최근 피해자 할머니들과의 개별 접촉에 나섰다.

12일 외교부 당국자에 따르면 최근 외교부 관계자들은 위안부 피해자 지원단체가 아닌, 개별적으로 생활하는 위안부 할머니들을 찾아 12·28 한일 합의 내용을 설명했다. 외교부 관계자들은 지난 11일 비공개로 한 피해자의 서울 시내 자택을 찾기도 했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12일 정례브리핑에서 “정부의 이번 합의 타결과 관련하여 우리 정부의 최우선 순위는 피해자분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 피해자들의 상처 치유”라면서 “개별적으로 거주하는 분 중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에 한해, 피해자의 의견을 경청하고 이번 합의 타결의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 대변인은 피해자 할머니들에 대한 방문을 비공개로 한 이유로 “언론 보도로만 소식을 듣는 각 지역 할머님들 중 사전에 동의하신 분에 한해서 방문해 설명 드렸고, 이를 꼭 공개적으로 할 생각은 갖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위안부 합의 다음날인 지난 12월 29일 임성남 외교부 1차관을 정대협 쉼터에, 조태열 외교부 2차관을 나눔의 집에 보내 협상 타결 내용을 설명한 바 있다.

최근 외교부의 지역 피해자 비공개 방문은 이의 연장선상에서 과거 위안부 피해자들의 이해를 구하는 시도로 해석된다.

조 대변인은 이와 관련하여 “이제 시작하는 단계”라며 “후속조치 이행 과정에서 피해자 분들의 의견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해와 설득 작업을 계속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외교부, 위안부 피해자 개별접촉…자택 비공개 방문./사진=연합뉴스

한편, 조 대변인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자국 의회에서 야당 의원의 질의에 위안부 관련 직접 사과를 하지 않는다고 언급한 데 대해서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을 통해 사과했고 박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아베 총리가 직접 사과했기에 그런 의미에서 답했을 거라 본다”며 “그 이상이나 이하도 아닐 것이라 본다”고 일축했다.

이와 더불어 최근 논란이 된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와 관련, 조 대변인은 “위안부 등재 문제는 민간단체가 주도적으로 하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이번 한일 위안부 합의와는 무관하다”는 외교부 입장을 재차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