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 정부는 3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예고와 관련, 오전 8시부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를 열고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강행할 경우 이는 한반도는 물론 이 지역과 전 세계의 평화와 안보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국제사회로부터 혹독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임을 엄중경고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태용 국가안보실 1차장은 이날 청와대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정부의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이는 북한이 ‘위성’을 발사하겠다는 계획을 국제기구에 잇따라 통보함에 따른 것이다.

   
▲ 북한이 인성위성을 명분으로 발사하는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계획을 통보함에 따라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의 군과 정보당국은 감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는 영국 런던에 있는 유엔전문기구인 국제해사기구(IMO)가 2일(현지시간) 북한이 전기철 국가해사감독국장 명의로 보내온 통보문을 공개하면서 밝혀졌다.

한국과 일본 미국 등 국제사회는 북한이 위성 발사를 명목으로 사실상 장거리탄도미사일 발사를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를 두고 있으며, 북한이 지난달 6일 4차 핵실험에 이어 사실상의 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은 국제사회의 새로운 제재 논의를 부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국제사회는 북한이 로켓 발사를 강행하는 것은 북한에 대해 탄도미사일은 물론 위성, 우주발사체 실험도 금지하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행위라고 경고해왔다.

한편 이에 대응하여 북한이 인성위성을 명분으로 발사하는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계획을 통보함에 따라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의 군과 정보당국은 감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우리 군 당국은 북한 장거리 로켓(미사일)의 궤적을 탐지하는 해군 이지스함을 1척에서 2척으로 늘린 것으로 이날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