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상일기자]우리나라 부부 세 쌍 중 두 쌍은 하루에 한 시간도 대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 5년간 남녀 간 양성평등 인식은 개선됐지만 실질적인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조부모, 부부, 미혼자녀가 함께 사는 3세대 가구의 증가도 괄목할만하다.
여성가족부는 통계청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해 조사한 '제3차 가족실태조사'를 4일 발표했다.
이번 제3차 가족실태조사는 2010년 실시된 2차 조사에 이어 5년 만에 이뤄진 것으로, 작년 3월 17일부터 3월 30일까지 전국 5018가구의 만 12세 이상 가족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번 가족실태조사 응답자 중 65.4%가 배우자와 하루 동안 의사소통하는 시간을 '1시간 미만'이라고 답했다. 2차 조사 때는 57.4%였다.
대화가 '전혀 없다'나 '30분 미만'이라고 답한 비율도 30.9%에 달해 2010년 17.5%보다 크게 늘어났다.
5년 전보다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도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배우자에 만족한다고 답한 비율은 56.9%에서 51.2%로 줄었다. 특히 여성이 남성에 비해 배우자를 불만족스럽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응답자의 56%가 배우자와에 대해 만족한다고 답한 반면 여성 응답자는 46.2%에 불과했다. 여성이 만족한다고 응답하는 비율은 5년 전부터 낮아지는 추세다.
지난 1년간 부부갈등으로 이혼을 고려한 적이 있다는 비율도 18.7%로 높게 나타났다. 남성(15.1%)보다 여성(22.6%)이, 홑벌이 가족(16.4%)보다 맞벌이 가족(20.6%)이 이혼을 심각하게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 간 갈등에 대한 대응방법은 '그냥 참는다'(45.9%)가 절반에 육박했다. '배우자와 대화로 해결한다'는 28.7%에 불과했고, '혼자서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본다'도 9.7%로 집계됐다.
조사를 진행한 김영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면서 서로 바빠 얼굴도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부부간 대화 시간도 따라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배우자 만족도는 주관적인 측면이 강하다"며 "경제적 어려움이 생기거나 자녀 문제 등 부부 간 갈등이 심해지면 대화도 줄고, 만족도도 낮아지는 경향이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