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 정부는 10일 개성공단 조업을 전면 중단한다고 밝힌 가운데, 개성공단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의 안전한 귀환을 위한 모든 조치를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2004년 9만3000㎡ 면적의 시범단지가 준공 이후 12년 만에 문을 닫는 개성공단에는 현재 우리 국민 184명이 체류하고 있다.

이날 정부의 개성공단 가동 중단 결정은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미사일 발사에 따라 독자제재에 들어간 것으로 사실상의 공단 폐쇄이며, 정부는 성명 발표 직전 이를 북한에 통보했다.

정부는 북한에 개성공단의 각종 설비 및 자재, 상품 등의 반출에 대한 협의절차를 가질 것을 제의했다.

이미 정부는 지난달 6일 북한의 제4차 핵실험 이후 생산 활동에 직결되는 입주기업 직원만 개성공단에 체류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에 따라 휴일 체류 인원은 기존 300명에서 구정 연휴를 맞아 184명까지 줄어든 상태다.

현재 개성공단 입주기업 124개사 중 53개사는 체류 직원이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와 관련 통일부 당국자는 “11일 개성공단 출경 예정인원 1084명 중 체류직원이 없는 53개사만 한 명씩 올려 보내 철수를 준비하게 하겠다”며 “나머지 인원은 출경을 허용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 정부는 10일 개성공단 조업을 전면 중단한다고 밝힌 가운데, 개성공단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의 안전한 귀환을 위한 모든 조치를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

우리 국민 철수는 신속히 단계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남측 인원 철수가 이뤄졌던 2013년 당시에도 북한 근로자의 임금 미지급분과 미납 세금 납부 문제 등을 둘러싼 실무협의 때문에 7명이 마지막까지 남아 있었다.

11일부터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CIQ)를 통해 개성공단 입주기업 관계자들의 철수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철수 방식은 2013년 사례와 동일하게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정부 당국자는 “기본원칙은 각 기업의 설비와 자재, 보관 중인 완제품을 모두 철수시킨다는 것이지만, 이와 관련해서는 북측과 협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개성공단 전면중단으로 사실상 영구 폐쇄가 될 것이라는 관측 속에, 입주기업 관계자들은 완제품 및 원자재 등을 최대한 많이 실은 채 귀환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북한이 개성공단 등록설비 반출을 불허할 가능성이 큰 관계로, 공장 설비 등은 거의 손을 대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부는 11일 서울 세종로 정부종합청사에서 이날 결정과 관련한 관계부처 차관회의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이석준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통일부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행정자치부, 국토교통부 차관 및 중소기업청장이 참석하는 회의에서는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에 대한 실질적 피해 보상과 경영 정상화를 위한 지원 방안이 논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