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후보는 현대건설, B후보는 롯데건설과 연관 “의혹”

수색증산4구역은 현재 실태조사중이다. 조합원 1800명, 이곳 주민들은 대부분 재개발을 원하기 때문에 실태조사 결과는 ‘개발 추진’으로 발표될 확률이 높다. 재개발이 시작하면, 공공관리제도에 따라서 추진위원장 선거가 실시된다. 수색증산 4구역에서 추진준비위원장으로 활동하는 사람은 현재 2명이다. 두 후보에 대해서 검증의 잣대가 지금부터 실시되고 있다. A후보, B후보측에 직접 전화로 ‘도덕성 문제’에 대해서 확인했다.

수색증산4구역은 현재 실태조사중이지만, 실태조사후 실시될 추진위원장 선거를 앞두고, 후보자간 홍보 경쟁이 치열하다. 해당 까페는 수색증산4구역 정보가 실시간으로 올라오고 있는 곳이다.
▲수색증산4구역은 현재 실태조사중이지만, 실태조사후 실시될 추진위원장 선거를 앞두고, 후보자간 홍보 경쟁이 치열하다.수색증산 뉴타운을 사랑하는 모임은 수색증산4구역 정보가 실시간으로 올라오고 있는 인터넷 까페이다.

A후보는 현대건설과 연관된 것이 아킬레스 건이다. A후보는 직접 “현대건설이 있었던 사무실에 사무실을 쓰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고 의혹을 부정하지 않았다. 반면, A후보는 “현대건설의 지원을 받은 것이 아니라, 현대건설의 사무실에서 월세를 주면서 이용한 것이다. 현대건설과 연관짓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고 해명했다.

A후보는 “이 건에 대해서 검찰조사를 받았고, 여러차례 고발을 당했지만,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현대건설에서 사업을 하겠다고 사무실을 차려놓은 곳에 임차를 해서 산 것이 문제라면 문제겠지만, 사무실도 없고 저렴하게 활용할 수 있어서 한 것 밖에 없다”고 말했다.

A후보는 “현대건설은 수색증산구역에서 사업을 철수하겠다면서 집주인한테 보증금을 빼달라고 한 것을 알고 있다”면서 “월세를 꼬박꼬박 주면서 사무실을 쓴 것이고, 현대건설로 지원받은 것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B후보는 전화통화를 할 수가 없었고, B후보측 사무실 직원은 오히려 “기자를 도저히 믿을 수 없다. B후보에 대한 의혹 자체를 기사화하지 않길 원한다. 의혹을 제기하면 그것에 대해서 책임을 져야할 것이다”고 말했다.

의혹은 다음과 같다. B후보는 응암2구역에서 조합원으로 있던 시절 롯데건설의 시공사 선정을 위해서 수천만원의 뇌물을 받았다는 소문이다. 그 사건은 지금도 진행중인 사건으로, 응암2구역에서 롯데건설이 87억원의 홍보비를 투입해서, 검찰수사를 통해서 롯데건설 임직원이 형사구속되고, 고등법원에서 기각된 사건이다. 응암2구역의 한 조합원은 “B씨가 당시 롯데건설로부터 뇌물을 받은 것은 검찰수사 자료에 나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액수는 정확히 말할 수 없지만, 수천만원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한편, 수색증산4구역 한 조합원은 “지역사회를 대표할 만한 명망있는 사람이 추진위원장으로 선출되면 좋겠다. 추진위원장은 건설사를 견제하고, 조합원들의 재산을 지켜야할 막중한 책임이 있는데, 건설사들과 연관된 의혹이 제기되고 있어서 매우 안타깝다. 후보들에 대한 검증도 중요하지만, 두 후보 말고 새로운 후보가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