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세계과학기자연맹총회 서울 유치 결정
2013-06-27 10:35:26 |
세계 언론인 관련 행사로는 최대 규모
한국이 2015년에 열리는 세계과학기자연맹총회(WCSJ World Conference of Science Journalists) 유치에 성공했다.
세계과학기자연맹총회는 2년마다 열리는 전 세계 과학 의학 언론인들의 최대 모임으로, 사회 경제 문제와 최신 과학 이슈를 논의하는 국제적인 행사다. 전 세계 언론인들이 모이는 행사 가운데는 최대 규모다.
세계과학기자연맹은 27일(현지시각)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제8회 세계과학기자연맹총회에서 서울을 다음 총회 개최 도시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베사 니니칸가스(Vesa Niinikangas) 세계과학기자연맹 회장은 “한국이 아시아를 포함해 더 많은 나라들로 회원국을 확대하려는 확고한 비전을 보여줬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이번 총회에서 한국은 차기 총회 유치를 노리는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케냐를 투표 끝에 제치고 최종 유치국으로 결정됐다. 한국은 주요 선진국은 물론 개발도상국들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
세계과학기자연맹 회원국 출신 7명으로 구성된 이사회는 서울의 유리한 유치 조건과 한국이 과학기술계에서 차지하는 위상, 풍부한 프로그램이 차기대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충분한 조건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한국은 개도국 언론인 초청 지원과 삼성 LG KT 등 주요 기업 현장방문,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프로그램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개도국에서 펼치는 과학기술 분야의 공적개발원조(ODA)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과학 저변 확산 노력도 서울 유치를 위한 분위기 조성에 한몫했다.
심재억 한국과학기자협회장(서울신문 의학전문기자)은 “이번 총회 유치 성공은 한국이 그동안 이룬 과학적 성과와 과학언론이 거둔 중요한 결실”이라며 “2015년 세계 총회를 성공적으로 마쳐 한국 과학과 과학언론이 세계 속으로 깊이 들어가는 결정적 계기가 되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심 회장은 2015년 총회까지 조직위원장을 맡아 원활한 총회 운영을 준비하게 된다.
세계과학기자연맹은 또 이날 김철중 한국과학기자협회 이사(조선일보 의학전문기자)를 제6대 세계과학기자연맹 회장에 선임했다. 세계과학기자연맹 회장은 세계과학기자협회 총회 유치국 회원이 맡게 되며 임기는 2년이다. 김 기자는 앞으로 세계과학기자연맹 이사회를 이끌며 연맹과 관련한 각종 현안에 대한 결정권을 행사하게 된다.
한국이 세계과학기자연맹총회 유치에 성공하면서 국내 과학 기술 위상은 크게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행사 기간 중에는 사이언스와 네이처, 와이어드 등 주요 과학 의학 정보기술(IT) 분야 학술지와 전문지 편집장과 취재 기자는 물론 BBC와 월스트리트저널, 뉴욕타임스 등 해외 주요 매체 산업 과학 의학 담당 기자들이 한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참가자 가운데 50%는 전문 기자와 언론인, 나머지 50%는 노벨상 수상자를 포함한 각국의 과학자와 전문 칼럼니스트, 과학 블로거, 기업과 관련 단체 관계자들이 차지하고 있어, 한국의 과학 기술과 산업을 해외 언론과 학계에 소개하는 국제 교류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다.
행사 기간 중에는 2000명 가까운 해외 언론인과 과학자, 기업체 관계자들이 한국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돼, 행사 개최에 따른 파급 효과도 예상된다.
세계과학기자연맹 서울 총회 유치에는 미래창조과학부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서울특별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언론재단 등 정부 기관을 비롯해 삼성전자, LG전자, 포스코, KT, 한국인삼공사,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가천대 등 국내 기업과 대학들이 전폭적으로 후원했다.
* 세계과학기자연맹총회(World Conference of Science Journalists)
세계과학기자연맹총회는 1992년 일본 도쿄에서 첫 대회가 열린 뒤 2007년부터 2년마다 한 번씩 열린다. 이번 핀란드 헬싱키 대회를 포함해 모두 8회가 열렸다. 총회와 함께 열리는 각종 컨퍼런스에서는 과학기술과 의학 보도 분야의 최신 이슈와 현안을 다룬다.
참가자들 가운데 50%는 전문 기자와 언론인들이지만, 나머지 50%는 과학자와 언론학자, 사회학자, 전문 칼럼니스트, SF작가, 기업과 과학의학 관련 단체 관계자들이 차지할 정도로 관심이 높다.
저개발국가의 보건 의료 문제, 화학사고나 의료 사고, 정치와 사회, 종교적 편향에 따른 사실 왜곡 등 시사적인 문제를 짚고 과학 저널리즘이 추구해야 할 올바른 방향들이 함께 논의된다.
2007년 호주 총회에서는 황우석 박사 줄기세포 연구 논문 조작사건이 한 분야로 다뤄져, 해외 언론의 조명을 받기도 했다. 이밖에 최신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새로운 취재기법과 보도 방법도 논의된다. 3M과 제네럴일렉트릭(GE) 같은 세계적 기업과 카타르 재단 등 국제재단,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네이처 같은 과학관련 단체와 언론이 후원을 맡고 있다.
*세계과학기자연맹(Word Federation of Science Journalists)
2002년 출범한 세계과학기자연맹은 캐나다 토론토에 본부를 두고 있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과 영국,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 등 세계 44개국이 회원국, 2개국이 준회원국으로 참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