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7일 유엔 회의에서 16일(현지시간) 일본 정부 대표단의 위안부 강제연행 부인 발언에 대해 “위안부 합의 정신을 훼손할 수 있는 언행을 삼가라”고 촉구했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일본 정부가 지난해 말 타결된 위안부 문제 합의의 정신과 취지를 훼손할 수 있는 언행을 삼가라”고 밝혔다.
조 대변인은 이어 “위안부 피해자분들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고 상처를 치유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행동으로 보여줄 것을 재차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NHK 및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 대표단 스기야마 일본 외무성 심의관은 16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 심의에서 “본격적으로 사실을 조사한 결과 정부가 발견한 자료에는 군이나 관헌에 의한 (군 위안부) 강제연행을 확인할 것은 없었다”고 주장했다.
스기야마 심의관은 또 “제주도 강제연행에 대한 위안부 관계자 증언은 허위이며, 해당 발언을 보도한 아사히신문은 2014년 기사의 오류를 인정했다”고 말했다.
이는 위안부에 대한 책임을 부인하는 일본 정부의 공식 행보로 풀이된다.
지난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정부는 “위안부 강제연행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분명하다”며 강제성을 부인하는 일본 정부에 수차례 자제를 요청한바 있다.
이번 일본의 왜곡된 과거사 대응으로 인해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일본과의 관계를 정상화하려는 정부가 난감한 입장에 놓이게 됐다.
|
 |
|
▲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17일 유엔 회의에서 16일(현지시간) 일본 정부 대표단의 위안부 강제연행 부인 발언에 대해 “위안부 합의 정신을 훼손할 수 있는 언행을 삼가라”고 촉구했다./사진=미디어펜 |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