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를 위한 ‘지상전원공급장치(Air Craft-Ground Power Supply·AC-GPS)(사진)가 교통신기술 제19호로 지정됐다.
국토교통부는 20일 지상전원공급장치(AC-GPS)와 관련, “여객기가 승객 탑승을 위해 대기하는 동안 항공기에 필요한 전력(115V, 400Hz)을 외부에서 공급하는 장비”라며 “항공기 보조발전 엔진을 가동하지 않아도 돼 연료 및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설비”라고 설명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인천공항 총 74개 주기장에 항공기 주기 기종을 고려해 개소 당 1~4대까지 총 104대를 운영 중이나 전량 외산제품으로 가격도 8,200만원으로 부담이 컸다.
AC-GPS는 국산화에 성공한 기술로 탑승교 하부에 부착해 전력을 공급하게 되며 국내 모든 항공기에 적합하도록 설계·제작됐다. 가격도 외산 대비 약 15% 저렴(7,000만원)하다.
인천공항공사는 현재 운용 중인 외산 장치의 교체와 신규 추진되고 있는 제2여객터미널에 필요한 총 174대의 지상 전원 공급 장치(AC-GPS)를 새로 개발된 국산 장비로 설치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약 200억원에 이르는 외화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해외사업에도 적극 반영해 선진국이 선점하고 있는 2,000억원 규모의 세계 시장에 중소기업과 함께 진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