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수출입은행이 위기를 맞은 국내 해운사들에 대한 지원에 나섰다.
한국수출입은행(은행장 이덕훈)은 기존 금융지원한 선박에 대해 향후 1년간 LTV 비율 유지의무 적용 '유예'를 주요내용으로 한 '국내 해운사 위기극복 지원방안'을 6일 발표했다.
통상 '담보인정비율'로 불리는 LTV(Loan to Value)는 선박가치에 대한 대출잔액 비율을 뜻하는 용어로 통상 70~90% 범위 내에서 적용된다.
하지만 최근 해운업계는 선박공급 과잉과 물동량 성장 둔화에 따른 운임 하락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는 상황이다. 계속되는 해운업 불황은 선박가치 하락으로 이어져 LTV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자금사정이 어려운 해운사들 입장에선 수은에 추가담보를 제공하거나 대출금 일부를 조기 상환해야 하는 상황이 유동성 부담 가중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수출입은행이 LTV비율 유지의무 적용을 유예해 줌으로써 간접적인 지원에 나선 것.
수은 관계자는 "수은의 이번 조치에는 약 1100억 원의 유동성 간접지원 효과가 있다"고 말하면서 "수은이 선제적으로 지원에 나섬에 따라 다른 금융기관들도 LTV비율 적용 유예에 동참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수은은 이날 조선업·해운업 연계지원 방안도 내놨다. 심각한 수주절벽에 처해있는 조선업과 선박확보 지연으로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는 해운업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해 내놓은 '해운·조선 상생모델'이 그 방안이다.
이 계획에 따르면 수은은 향후 국내 해운사가 국내 조선사에 선박을 발주하면 해운사에 대해 대출한도 확대, 금리·수수료 인하 등 우대금융을 제공하고, 에코쉽펀드(후순위대출)와 해양보증보험을 연계한 패키지금융도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수은은 국내 해운사들이 선박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가 추진 중인 정책펀드 조성에도 적극 참여해 해운사들의 투자부담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산업은행·한국자산관리공사 등 다른 금융기관과 함께 펀드를 조성한 뒤 이 펀드가 선박을 발주하여 국내 해운사에 운용리스하는 방식을 추진 중이다.
선박은 정책펀드가 소유하되 해운사가 선박을 리스하는 방식인 만큼 이 제도가 도입되면 해운사 입장에선 자금 부담이 줄어들어 선박 확보가 가능해진다.
정책펀드는 올해 상반기 중으로 설립되어 초대형 에코쉽을 국내 해운사에 지원할 예정이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