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최근 들어 북한이 정부 내 주요 인사의 스마트폰을 해킹하는 등 일부 피해사례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북한의 사이버테러가 현실로 다가온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지난 7일 한 언론과의 통화에서 "정부 내 상당히 중요한 인사들의 스마트폰이 해킹됐고, 북한 소행으로 확인됐다"며 철도 관련 기관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이 있었지만, 당국이 이 사실을 파악하고 차단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국가정보원은 8일 오전 긴급 국가사이버안전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기관별 대비태세를 점검한다.
참석자들은 회의에서 정부 및 공공기관 대상 사이버 테러 시도 및 국내 주요인사 스마트폰 해킹 등 최근 북한의 사이버 공격 사례를 공유하고 범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최종일 국정원 3차장이 주관하는 이번 회의에는 국무조정실, 미래창조과학부, 국방부, 금융위원회 등 14개 부처 실·국장급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앞서 국정원은 2011년 '농협 전산망 사이버 테러', 2013년 '3·20 사이버테러' 등 북한이 주도한 대규모 사이버테러 사건이 발생하거나 징후가 포착할 때 긴급 국가사이버안전 대책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국가정보원은 7일 보도자료를 통해 "사이버 테러는 공격 근원지 추적이 어려워 신속한 대응이 곤란한데다 막대한 사회ㆍ경제적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며 "국제사회 제재 조치에 반발하고 있는 북한이 사이버 테러를 자행할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고 실제 현실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
 |
|
▲ 최근 들어 북한이 정부 내 주요 인사의 스마트폰을 해킹하는 등 일부 피해사례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북한의 사이버테러가 현실로 다가온 것으로 알려졌다./사진=연합뉴스 |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