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 대란' 재발 막아야…금융당국 10일 실태점검
[미디어펜=이원우 기자]언론사와 금융회사들의 전산망이 파괴돼 온 국민이 '패닉'에 빠졌던 2013년 3‧20 사이버테러 이후 3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지만 북한 정찰총국의 금융회사 해킹 시도는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8일 열린 긴급 국가사이버 안전대책회의에서는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급증하고 있는 해킹 사례가 다수 공개됐다.

국내 주요 인사들의 스마트폰 해킹 시도가 있었다는 사실도 이슈가 됐지만 특히 눈길을 끈 건 지난달 북한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금융해킹' 시도가 진행됐다는 사실이었다. 

이날 국정원이 발표한 북한의 사이버 금융테러 유형은 금융거래를 할 때 PC에 내려 받는 보안 SW나 백신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자 PC에 악성코드를 심고, 그 코드가 각종 금융거래 시스템과 정부부처 웹사이트에까지 악영향을 주는 우회공격 방식으로 밝혀졌다. 

아직 실질적인 피해가 발생한 것은 아니었지만 대다수 국민들이 생활 속에서 이용하는 금융 전산망에 대한 북한의 해킹이 2013년에 이어 반복된다면 그 여파는 걷잡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작년 설립된 금융보안원은 같은 날 '전자금융 피해예방 10대 수칙'을 발표하며 국민들이 금융해킹 피해를 입지 않도록 유도하고 있다. 

   
▲ 금융보안원이 발표한 '전자금융 피해예방 10대 수칙' /사진=금융보안원


전자금융거래는 본인이 지정한 PC, 스마트폰에서 이용하기, 최신의 백신 프로그램 설치하기,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기 등 생활 속에서 지켜야 할 수칙들이 나열돼 있지만 북한의 해킹 기술도 함께 진화하고 있어 완벽한 예방에 대한 불안감은 여전하다.

금융보안원의 한 관계자는 "실질적인 피해가 발생하지는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이미 모든 금융기관들이 문제가 된 전자서명값은 교체한 상태"라고 말했다. 대다수 금융기관의 경우 업무 인트라넷과 인터넷망이 분리돼 있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만약 보안업체가 마비될 경우 얼마든지 심각한 상태가 도래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당국은 오는 10일 오후 국민은행 여의도본점에서 금융회사 개인신용정보보호 실태점검에 나선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