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2014년‧2015년 국민계정' 발표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작년 대한민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7340달러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은 25일 발표한 '2014년 국민계정(확정) 및 2015년 국민계정(잠정)'을 발표해 지난해 대한민국 국민 1인당 GNI가 2만7340달러(3093만5000원)로 전년(2만8071달러) 대비 2.6%(731달러) 줄었다고 발표했다.

달러 기준으로 1인당 GNI가 전년 대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 것은 2009년 이후 6년 만의 일이다. 1인당 GNI는 2만 달러를 돌파해 2006년 2만823달러를 기록한 이후 9년 동안 3만 달러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하락 추세를 보이기까지 했다.

단, 원화 기준으로 하면 1인당 GNI가 2014년 2956만5000원에서 137만원(4.6%) 늘어난 3093만5000원을 기록했다. 이는 작년 연평균 원‧달러 환율이 7.4% 상승하면서 원화가 약세를 보인 영향이다.

한편 작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6%로 집계됐다. 이는 2014년 3.3%보다 0.7% 포인트 떨어진 수준이고 2012년 2.3%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지난해 실질 GNI가 6.5% 증가한 것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이다.

전분기 대비 실질 성장률은 작년 1분기 0.8%에서 2분기 0.4%로 떨어졌다가 3분기에는 1.2%로 급상승했고 4분기에는 0.7%를 기록했다. 

명목 GDP는 1558조6000억 원으로 2014년보다 4.9% 늘었다.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하는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5524달러로 2014년 1만5922달러보다 감소했다.

단 1인당 PGDI의 경우에도 원화로 환산하면 1756만5000원으로 2014년 1676만9000원보다 늘어났다.
 
국민소득에서 임금(노동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을 가리키는 '노동소득분배율'은 62.9%를 기록해 1년 전보다 0.1% 포인트 상승했다.

포괄적 물가수준을 보여주는 GDP 디플레이터는 2014년 대비 2.2% 상승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