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합의 최선, 자기반성 없는 책임 떠넘기기 경계
[미디어펜=김태우 기자]현대차그룹이 개발 중인 삼성동 옛 한전부지 글로벌 비즈니스센터(GBC)부지를 돌려달라는 조계종의 요구에 자기반성이 우선돼야 한다는 불교계 내부의 지적이 나왔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참여불교재가연대는 지난 24일 성명서를 통해  조계종단의 한전 부지 환수기원 법회는 선거 국면에 정치적으로 개입하는 의도라고 지적했다. 

   
▲ 봉은사 전경/강남구청


조계종은 과거 봉은사 땅이던 옛 한전 부지를 1970년 정부에 강제로 빼앗겼다며 봉은사에 돌려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23일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한전 부지 환수기원 법회에선 ‘더민주 총선 필패’, ‘박원순 대권 불발’, ‘더민주-한전부지 개발허가 즉시 중단하라’ 등의 구호를 내걸었다.

이와 관련해 재가연대는 “정부가 아니라 일개 정당에 개발허가 중단을 요구하고 총선필패를 외치는 것은 정치개입이라 볼 수밖에 없다”며 “선거법 위반논란을 자초해 불교의 위상을 떨어뜨리는 행위다”고 비판했다.

또 그들은 “현재의 조계종단의 목표와 행동은 천만 불자들에게, 또 양식 있는 시민들에게 낯부끄러운 행위이며, 불교의 위상을 땅에 떨어뜨리는 것임을 자각해야 할 것이다”며 “조계종단은 겸허하게 자신의 과거 잘못을 반성한 뒤에, 다시금 목표와 방법을 정당하게 설정할 것을 조계종단에게 엄중히 권고한다” 밝혔다.

한편 조계종 한전부지 환수위원회는 지난 23일 오후 3시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기원법회를 봉행했다. 이날 법회에는 스님과 신도 3500여 명(경찰 추산·주최측 주장 1만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고 환수위원회는 서울시의 한전부지에 대한 개발 인허가 보류와 봉은사 토지 수용의 진상을 밝히는 공동조사위원회 구성을 촉구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