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선대위 체제 전환…국민의당 "양당 담합구조 혁파"
[미디어펜=김규태 기자]4·13 총선 공천 후 본격적인 선거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한 여야가 "민생입법 막은 배신의 정치" vs "배신의 경제" 및 "양당 담합구조 혁파" 등 심판론 대결에 나섰다.

새누리당은 '원내 과반 의석 재확보', 더불어민주당은 '여소야대(與小野大) 구도 성사', 국민의당은 '안정적인 원내교섭단체 구성'을 4·13 총선 목표로 내세워 선거대책위원회를 열었다.

새누리당은 지난 19대 국회에서 야당이 민생 입법의 발목을 잡았다는 '배신의 정치' 프레임으로 '야당 심판론'을 부각시킨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이와 관련 "이번 총선은 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만드는 '민생 우선세력'과 경제를 포기한 '민생 외면세력'의 대결"이라고 말한 바 있다.

원내 과반 의석 재확보라는 총선 목표를 위해 새누리당은 '일하는 국회'를 구호로 내세우고 일자리 개혁, 청년 독립, 40∼50대 재교육, 마더센터, 갑·을 개혁 등 핵심 공약 5가지를 유권자들에게 제시했다.

새누리당의 선대위는 오는 28일 공식 발족한다.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서청원·이인제 최고위원,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 등 5명이 공동 선대위원장을 맡는다.

이에 더민주는 정부와 여당의 실정으로 민생이 어려웠다는 '배신의 경제론'으로 맞선다.

당 내부적으로는 130석 정도를 목표치로 거론하고 있는 더민주는 '경제심판'을 총선 구호로 내세우고, '경제민주화'를 주장한 김종인 비대위 대표를 단독 선대위원장으로 내세우는 등 선대위 구성에서부터 민생 경제를 의제로 삼았다.

더민주는 이와 함께 비례대표 4번 최운열 서강대 전 부총장이 맡는 '경제상황실'을 설치한다.

이를 통해 더민주는 경제심판론을 부각시키면서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청년 일자리 70만개 창출, 공공임대 5만호, 최저임금 인상, 생활임금 확대, 이익공유제 확대 등 이른바 '더불어성장론'을 대표 경제공약으로 제시한다는 복안이다.

국민의당은 양당의 기득권 구조가 모든 문제의 근원이라 보고 양당 체제의 담합구조를 혁파하겠다는 목표를 내걸어 유권자들의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이에 국민의당은 각 분야 전문가를 앞세워 '새로운 정치'로 호소하겠다는 전략을 덧붙였다.

이를 위해 국민의당은 안철수·천정배·김영환·이상돈 등 기존 4인 공동 선대위원장 체제에 비례대표 1·2번으로 지명된 전문가 신용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오세정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를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국민의당 목표 의석은 원내 교섭단체 구성 요건인 최소 20석이다. 국민의당은 호남에서 20석을 우선 확보하고, 전국 정당 득표율 20% 이상을 목표로 뛰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 4·13 총선 공천 후 본격적인 선거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한 여야가 "민생입법 막은 배신의 정치" vs "배신의 경제" 및 "양당 담합구조 혁파" 등 심판론 대결에 나섰다./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