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구매실적 4년간 최대 증가폭
[미디어펜=이원우 기자]작년 전업 카드회사의 당기순이익이 3년 만에 하락세로 전환됐다.

금융감독원(원장 진웅섭)은 신용카드사 2015년 영업실적 자료를 공개해 작년 전업카드사의 당기순이익이 2조158억 원을 기록, 2조1786억 원을 기록한 2014년 대비 7.5%(1천628억 원) 줄었다고 29일 밝혔다.

2012년 이후 3년 만인 카드사 당기순이익 감소는 카드사 간 경쟁 심화로 카드모집, 부가서비스에 들어가는 카드비용이 크게 증가한 탓이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반면 카드론 이자수익은 11.4% 증가했고 조달비용과 대손비용 또한 각각 7.3%, 6.8% 줄었다.

한편 판매관리비는 2014년 2조8191억 원에서 2015년 3조505억 원으로 8.2% 증가했고, 카드비용은 같은 기간 10조601억 원에서 11조576억 원으로 9.9% 상승했다.

카드사별로는 비씨, 신한, 우리카드 순익이 늘었으며 KB, 하나, 현대, 롯데카드는 순익이 감소했다.

삼성카드는 2014년 제일모직과 삼성화재 보유주식 매각으로 4885억 원의 비경상적 이익이 발생했던 기저효과로 작년 순익은 3308억 원 줄었다.

카드사 당기순이익 감소와는 대조적으로 신용카드 발급매수는 3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신용카드 발급 매수는 지난 2011년 1억2214만 장을 정점으로 감소해왔으나 2014년 9232만 장에서 2015년 9314만장으로 0.9% 늘었다.

2013년 4월부터 휴면카드 자동해지 약관 시행으로 작년 휴면카드가 110만 장 감소했음에도, 정보유출 사태로 2014년 2∼5월 영업정지를 받았던 KB‧NH‧롯데 등 카드 3사의 카드발급이 정상화되면서 휴면카드 감소분을 상쇄했다.

체크카드 발급 매수의 경우는 2010년 소득공제율 상향 조정 이후 연평균 6∼7%대의 증가율을 나타내며 2014년 1억77만장에서 2015년 1억527만장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한편 작년 신용카드 구매실적은 1년 전보다 8.8% 늘어난 536조 1000억 원으로 최근 4년간 최대 증가폭을 나타냈다.

이는 국세의 카드납부 한도가 폐지돼 국세(14조원)와 공과금(2조8000억원) 결제 금액이 크게 증가하고, 인터넷 판매(6조원)와 편의점(1조2000억 원) 결제액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체크카드 구매실적은 1년 전보다 16.2% 늘어난 131조원을 기록해 소득공제율 확대 이후 높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카드대출은 카드론 취급 확대로 1.1% 늘어난 94조6000억 원을 기록했다.

전업카드사의 총채권 연체율은 사상 최저 수준인 1.47%로 낮아졌고 조정자기자본비율은 27.1%로 1년 전(27.3%)과 비슷한 수준을 보여 자산건전성이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를 유지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