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개월째 흑자 기록했지만 수출‧수입 감소 '불황형' 논란
[미디어펜=이원우 기자]지난 2월 우리 경제는 75억 1000만 달러의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총재 이주열)은 1일 '2016년 2월 국제수지'(잠정)를 발표해 지난 2월 상품, 서비스 등에 걸친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75억 1000만 달러의 큰 폭으로 흑자를 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경상수지는 2012년 3월부터 48개월째 흑자가 이어져 '최장 흑자' 신기록을 세웠다.

한편 경상수지 흑자는 지난 1월(68억 2000만 달러) 대비 6억9000만 달러가 늘었고, 전년 동월 대비 14억3000만 달러나 늘었다. 매년 2월 기준으로도 사상 최대 수치다.

황상필 한국은행 국제수지팀장은 자료 발표 후 브리핑에서 "국제적인 저유가 현상에 따른 교역조건 개선으로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단, 최근 연이은 흑자는 상품교역에서 수출과 수입이 함께 줄어드는 가운데 수입이 더 많이 줄면서 생기는 이른바 '불황형 흑자'라는 논란은 끊이지 않을 전망이다. 

실제로 수출은 365억 5000만 달러로 작년 2월보다 9.3% 줄었고 수입은 286억 5000만 달러로 13.9%나 감소했다.

한편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의 순자산(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은 95억 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15억 1000만 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4000만 달러 줄어들었다.

지난 2월에도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의 이탈은 이어졌지만 국제금융시장이 다소 안정을 찾으면서 감소폭은 축소된 것으로 파악됐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