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임종룡 금융위원장이 로보어드바이저 시대의 도래를 예견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7일 여의도 자본시장연구원 대회의실에서 개최된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 발전을 위한 간담회'에 참석해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와 연금 등 장기·복합 투자 상품이 활성화돼 전문적이고 객관적 자문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면서 "투자자문 서비스 제공 주체로서 로보어드바이저의 역할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로보어드바이저란 '로봇'과 '어드바이저(조언자)의 합성어로, 로봇이 투자자들에게 최적화된 투자자문을 실시하는 이른바 '은행 알파고'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우리은행과 기업은행 등에서는 이미 개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로보어드바이저 프로그램을 조금씩 내놓기 시작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로보어드바이저는 저렴한 비용으로 개인 맞춤형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해 자문 서비스의 대중화를 선도할 수 있어 조명받고 있다"며 "로보어드바이저가 점차 핀테크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한편 그는 최근 금융당국이 도입 계획을 발표한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를 언급하면서 이번 테스트베드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로보어드바이저 활성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겠다고 공표했다.
금융위는 오는 7월부터 로보어드바이저가 자산을 운용하는 시험장인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를 운영해 검증된 업체들의 로보어드바이저 시스템이 일반 투자자를 상대로 투자 종목 선정부터 매매까지 전 단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할 방침이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 제공 업체, 증권사‧은행 관계자, 학계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임 위원장 발언 이후 디셈버&컴퍼니, 쿼터백, 위즈도메인 등에서 참석한 로보 전문사 담당자들은 '로보어드바이저의 특성에 맞춰 인터넷 일임 계약이 가능하도록 비대면 일임 계약을 전면적으로 허용해달라'는 건의사항을 전달했다. 이에 대해 임 위원장은 "테스트베드 운영과정에서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해나가겠다"고 화답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