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이용 합리화 실행계획 마련
[미디어펜=김태우 기자]대전시는 8일 에너지 절약과 신재생 에너지 확대 보급을 골자로 하는 '에너지이용 합리화 실행계획'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계획은 ▲ 에너지 절약을 위한 교육·홍보활동과 범시민 참여 실천운동 전개 ▲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및 자전거 이용 인프라 확산 ▲ 공공 및 산업부문 노후기기 에너지절약형 고효율 기기로 교체 ▲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 확대 보급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시는 탄소포인트제, 탄소중립프로그램 등 에너지절약 실천운동에 자발적인 참여를 늘리고 초·중·고 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에너지절약학교 운영, 에너지절약 독서골든벨대회 개최, 기후변화 교육센터 운영, 에너지절약 촉진대회 등 다양한 교육·홍보활동을 할 예정이다.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주요 노선의 신호체계를 개선하고 지능형 교통시스템 확대, 승용차 요일제 참여도 확산시킨다.

대전 만의 고유 시책인 '22 버스데이'(매월 22일을 둘이둘이 버스 타는 날), '골든벨 버스 이벤트'등을 통해 기관과 시민 참여를 유도하고, 자전거 이용 인프라 구축을 위해 자전거도로 확충 및 정비, 시민공영자전거 '타슈' 보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공공부문의 에너지이용 합리화를 위해서는 모든 공공청사 조명시설을 연차적으로 절전형LED로 교체하고, 노후 냉난방기기 등을 고효율 기기로 바꾸기로 했으며, 공용차량 구입시 친환경 자동차를 늘릴 방침이다.

또 신재생 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자전거 전용도로, 오월드 주차장 및 쓰레기 매립장 등 남는 부지를 활용해 태양광 발전시설을 민간투자 사업으로 추진하고 각급 학교 등 공공시설과 개인주택에도 태양광 발전시설을 확대 보급한다. 미래 에너지로 주목받는 수소연료전지 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박장규 대전광역시 에너지산업과장은 "대전은 에너지 생산시설이 거의 없어 생산구조가 취약하지만 에너지 소비량은 해마다 증가추세에 있고 가정 및 상업부문 증가율이 높아 에너지 수급 불균형이 심화하고 있다"며 "현재 2.5%에 그치는 시의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기 위해 에너지 절약을 통한 이용 합리화와 태양광·수소에너지 등 신재생 에너지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