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롱텀에볼루션(LTE) 장비 시장은 LTE 서비스 전국망 구축이 완료되면서 통신사업자의 LTE 관련 투자비용 감소로 이어져 전년대비 40% 하락한 1조8,587억원 규모로 조사됐다.
IT 시장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한국IDC는 13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한국 LTE 시장 2013~2017 전망 및 분석’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감소 추세는 향후 5년간 지속되면서 연평균 21%씩 하락, 2017년 국내 LTE 장비 시장은 9,868억원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지난해 말부터 서로 다른 대역의 주파수를 묶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주파수집성(CA, Carrier Aggregation) 기술을 포함한 LTE-A 인프라 확장이 진행되고 있지만, 기존 인프라를 증설하는데 그쳐 당분간 투자를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김민철 선임연구원은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서비스 상용화 이후 와이드밴드 코드분할 다중접속기술(WCDMA) 서비스 상용화까지 10여년이 걸렸다”며 “반면, LTE 서비스를 상용화하는 데는 5년, LTE-A는 다시 2년 이후 서비스하는 만큼 제한된 통신 서비스 시장에서 통신사업자간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구축 기간도 그 만큼 단축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장비를 공급하는 업체 입장에서는 LTE를 포함한 이동통신 산업이 더이상 안정적인 고정 수입원이 될 수 없다”며 “다만,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의 5G 최초 시범 운영 계획에 이어 2020년 통신사업자의 5G 상용화 계획, 기존 LTE와 LTE-A 인프라의 라이프사이클이 맞물리면서 장기적으로는 통신사업자의 대규모 투자 활성화가 다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