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접대비 부담, 기업의 수익성 악화요인

우리 기업들이 한 해 동안 지출하는 접대비 규모가 7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벌닷컴이 14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중소기업청의 기업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2년 기준 국내 전체 기업의 접대비는 6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재벌닷컴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접대비 규모는 ▲2009년 5조6,000억원 ▲2010년 6조1,000억원 ▲2011년 6조4,000억원 등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의 접대비 부담이 대기업의 5배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기업의 매출 대비 접대비 비율은 ▲2009년, 2010년 0.09% ▲2011년, 2012년 0.08%였다.

반면, 중소기업의 경우 2009년 0.43%, 2010년 0.41%, 2011년 0.4%, 2012년 0.41%로 나타났다.

접대비 규모도 대기업은 ▲2009년 1조5,000억원 ▲2010년 1조6,000억원 ▲2011년 1조7,000억원 ▲2012년 1조8,000억원인데 비해 중소기업은 ▲2009년 4조1,000억원 ▲2010년 4조4,000억원 ▲2011년 4조7,000억원 ▲2012년 4조8,000억원으로 2배 이상 많았다.

재벌닷컴 측은 “중소기업의 접대비 규모가 증가하는 것은 시장 경쟁구도에서 대부분 '을'의 위치에 있는 중소기업이 일감을 수주하기 위해 대기업보다 더 많은 접대비를 지출하는 것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소기업의 높은 접대비 부담은 판매관리비 상승으로 이어져 결국, 기업의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실제 2012년 기준 대기업은 매출 2,261조8,000억원, 영업이익 105조5,000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이 평균 4.7%를 기록했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매출 1,188조9,000억원, 영업이익 36조2,000억원으로 3%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