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지난 3월 대한민국 경상수지 흑자가 100억 달러대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총재 이주열)은 2016년 3월 국제수지(잠정치)를 발표해 상품수지와 서비스수지 등을 합한 경상수지가 100억9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고 2일 밝혔다.
|
 |
|
▲ 지난 3월 대한민국 경상수지 흑자가 100억 달러대를 기록했지만 '불황형 흑자'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
이번 경상수지 수치는 여러 방면에서 '기록'을 남겼다. 우선 2012년 3월 이후 49개월째 역대 최장기간 흑자를 이어갔다. 흑자 규모 또한 작년 9월 108억5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한 이후 최대였다.
한편 경상수지 흑자는 1분기만을 기준으로 할 경우 240억 달러를 초과해 1980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번 경상수지 흑자 확대를 이끈 것은 상품수지 흑자액이었다. 2월 75억4000만 달러에서 3월 124억5000만 달러로 대폭 늘어나 흑자 흐름을 가속화 했다.
상품수출은 445억4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9.3% 줄어들었고, 상품수입은 321억 달러로 1년 전보다 16.1% 감소했다.
한편 대규모 흑자에도 불구하고 국내 경제의 '내실'은 그리 긍정적이지만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수입이 수출보다 더 감소하면서 전형적인 '불황형 흑자' 구조가 고착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3월 품목별 수출실적(통관기준)을 보면 석유제품(-39.7%), 디스플레이패널(-32.8%), 선박(-28.8%), 가전제품(-14.6%)과 같은 주력 수출제품의 수출액은 1년 전보다 크게 줄었다.
지역별로 봐도 유럽연합(12.7%)을 제외한 중남미(-32.5%), 중동(-32.5%), 중국(-12.3%), 미국(-3.7%) 등 대부분 지역에서 수출이 전년도보다 감소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