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금융감독원이 자본시장에 존재하는 불합리한 관행 개선에 나선다.
금융감독원(원장 진웅섭)은 3일 '20대 금융관행 개혁'의 일환으로 자본시장의 불합리한 관행 개선과 신뢰제고 방안을 발표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산업의 신뢰도 제고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
 |
|
▲ 금융감독원 민병현 부원장보가 3일 오전 금감원 기자실에서 '자본시장의 불합리한 관행개선 및 신뢰제고 방안' 골자를 설명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
이날 오전 여의도 금융감독원 기자실에서 개최된 브리핑에서 민병현 금감원 부원장보는 "그간 금융투자업계와 금융감독당국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의 공정성과 신뢰성 제고를 위해 매진해 왔으나 일부 과거로부터의 잘못된 관행에서 벗어나지 못한 영업행태로 시장과 산업의 신뢰를 잃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면서 "개선 가능한 사항부터 하나씩 바꿔나감으로써 시장신뢰를 회복하고 부당이득에 대해서는 엄정 조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구체적인 개선 방안에서는 IPO시장의 '정보 투명성'에 대한 내용이 우선 거론됐다. 진 부원장보는 IPO시장의 발행제도와 청약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IPO 수요예측 결과를 기관투자자 유형별로 구분공시하고, 의무보유 확약에 따른 기간별 출회가능물량을 충실히 공시할 것이라고 공표했다.
또한 금융위원회와의 협의 하에 투자판단에 필요한 핵심정보 위주로 구성된 핵심투자설명서 제도 도입도 추진된다. 이 설명서에는 펀드사례를 참조해 투자위험 등 투자판단에 필요한 정보가 요약 제공될 예정이다.
당국은 '올바른 금융상품 판매절차 준수'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이에 따라 투자성향에 부합하지 않는 고위험상품 판매 시 고객이 스스로 선택하는 폭을 넓힐 수 있도록 '부적합상품 판매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로 했다. 비대면 채널의 특성을 고려한 '온라인 투자권유‧판매기준'도 마련해 특정펀드에 대한 추천이나 광고 기준을 구체적으로 공시할 예정이다.
덧붙여 진 부원장보는 상장협, 코스닥협, 금투협, 금감원으로 4자간 협의체를 구성해 건전한 리서치 문화를 유도하고, 고질적 위규행위를 예방하며, 비상장사의 사기적 투자금 모집 등 불법행위에 대한 감시를 강화함으로써 공정한 증권거래 질서를 확립할 것이라고 개선 방안의 골자를 설명했다.
금감원은 이날 '자본시장의 불합리한 관행 개선 및 신뢰제고 방안'이라는 자료를 함께 발표하면서 올해 3분기까지 각 세부 이행과제별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시행될 수 있도록 추진할 것이라고 공지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