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임종룡 금융위원장이 금융권 '성과주의' 도입을 재차 강조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10일 금융위원회에서 열린 제3차 금융 공공기관장 간담회에서 "성과연봉제 도입이 지연되는 기관에는 인건비와 경상경비를 동결하거나 삭감하는 등 보수‧예산‧정원 등에서 불이익을 주는 방안을 적극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
 |
|
▲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금융권 '성과주의' 도입을 재차 강조했다. /금융위원회 |
평소에도 성과주의 도입의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강조해온 임 위원장은 이날 성과주의 도입에 적극적이지 않은 기관에 '불이익'을 줄 수 있다는 취지로 발언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금융 공공기관이 무사안일한 '신의 직장'이라는 지적에서 벗어나려면 성과중심 문화를 조속히 도입해야 한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또한 임 위원장은 "321개 공공기관 중 예탁결제원의 직원 연봉 순위가 1억400만원으로 1위"라면서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보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성과연봉제 도입이 늦어지는 곳에는 인건비성 예산에 불이익을 주거나 정원‧조직‧업무 등 기관업무 협의 때 경영 효율성 문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성과연봉제를 조기 도입하는 기관에 대해서는 인건비를 0.25~1% 인상하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겠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구조조정 차원에서도 성과주의가 강조됐다. 임 위원장은 "특히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구조조정이라는 시급한 현안을 다뤄야 하며 자본확충도 절실하다"면서 "그동안 두 기관의 경영에 대한 국민의 실망이 큰 만큼 조속히 성과주의 문제를 정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성과주의에 대한 임 위원장의 발언이 점점 수위를 더해가는 한편 금융노조의 반발 또한 거세지고 있다. 지난 9일 금융노조는 성명을 발표하면서 "국책은행의 성과주의 확대 도입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금융노조는 "국가 기간산업을 이 지경으로 망가뜨린 관치의 폐해를 더 극대화할 성과주의를 국책은행 전면에 도입하겠다는 것은 구조조정의 방향성을 훼손시키고 문제의 본질을 은폐시켜 '관치 카르텔'을 공고화시킬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여 금융권 노사 갈등이 더욱 증폭될 가능성을 내비쳤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